부5 드래곤 슬롯는 부사형 어미 혹은 연결어미를 가지는 용언의 활용형이다. 비종결형이라고도 하며 문장을 종결시킬 수 있는 정5 드래곤 슬롯와 대립된다. 알타이 언어학자 람스테트는 국어 용언을 정5 드래곤 슬롯, 부5 드래곤 슬롯, 동명사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부5 드래곤 슬롯 개념을 도입하였다. 최현배는 종합적 입장에서 ‘-아/어, -게, -지, -고’를 자격법의 부사형으로 다루고 기타의 부5 드래곤 슬롯형은 접속법으로 다루었다. 최근에는 보문화, 접속화 연구나 부정법(否定法)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부5 드래곤 슬롯어미는 행적 기능을 가지는 억양에 의하여 문장 종결 기능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의 부5 드래곤 슬롯어미는 반말이 된다.
문장을 종결시킬 수 있는 정5 드래곤 슬롯(定動詞, verba finita)에 대립된다. 부5 드래곤 슬롯는 문장을 종결시키지 못한다고 하여 비종결형(非終結形, non · conclusive)이라 불리기도 한다.
국어문법에 부5 드래곤 슬롯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는 알타이 언어학자 람스테트(Ramstedt,G.J.)이다. 그는 알타이어학의 전통에 따라 국어의 용언을 그어미활용에 의하여 정5 드래곤 슬롯 · 부5 드래곤 슬롯 · 동명사의 셋으로 크게 나누고 부5 드래곤 슬롯를 다시 단순형과 복합형으로 나누어 16종의 부5 드래곤 슬롯를 설정하였다.
즉, 현재부5 드래곤 슬롯 ‘ · 고’, 완료부5 드래곤 슬롯 ‘ · 아/ · 어’, 미래부5 드래곤 슬롯 ‘ · 게’, 목적부5 드래곤 슬롯 ‘ · 려’, 전제부5 드래곤 슬롯 ‘ · 니’, 양보부5 드래곤 슬롯 ‘ · 나’, 반대입장부5 드래곤 슬롯 ‘ · 거늘’, 전환부5 드래곤 슬롯 ‘ · 다가’, 인용부5 드래곤 슬롯 ‘ · 대’, 예상부5 드래곤 슬롯 ‘ · 되’, 결과부5 드래곤 슬롯 ‘ · 도록’, 동시부5 드래곤 슬롯 ‘ · 며’, 조건부5 드래곤 슬롯 ‘ · 면’, 가상부5 드래곤 슬롯 ‘ · 거든’, 순간부5 드래곤 슬롯 ‘ · 자’, 부정부5 드래곤 슬롯 ‘ · 지’ 등이 그것들이다. 이 가운데 현재 · 완료 · 미래 · 순간 · 부정 부5 드래곤 슬롯만을 단순형으로 보았고 나머지는 모두 복합형으로 보았다. 한 예로 복합형의 ‘ · 려’는 동명사 어미 중 미래분사형인 ‘ · ㄹ’에 ‘이다’의 활용형 ‘이어’가 결합된 형식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전통에 입각하여 구조주의 주1의 기술적인 관점을 도입하여 다시 분류를 꾀한 이가 마틴(Martin,S.)이며, 형태소 분석을 보다 정밀화한 이가 필(Pihl,M.R.Jr.)이다. 이들의 연구는 동명사나 조사의 화석형(化石形)까지도 추출하려는 분석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에 대해 종합적인 태도를 보인 최현배(崔鉉培)는 ‘ · 아/ · 어, · 게, · 지, · 고’를 자격법 가운데 부사형으로 다루고 기타의 부5 드래곤 슬롯형은 이와는 달리 접속법으로 다루었다. 다양한 형태나 형태소 결합을 그 의미기능에 따라 구속형 · 방임형 · 나열형 · 설명형 · 비교형 · 선택형 · 연발형 · 중지형 · 첨가형 · 익심형(益深形) · 의도형 · 목적형 · 도급형(到及形) · 반복형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가령, 구속형은 ‘ · (으)면, · (으)ㄹ 것 같으면, · (으)ㄹ진대(댄), · 거든, · (더)ㄴ들’과 같은 형식을 가정구속형(假定拘束形)이라 하고, ‘ · (으)니, · (으)니까, · (으)ㄴ 즉, · 아, · 아서( · 어, · 어서), · 나니, · 매, · (으)므로, · 는지라, · (으)ㄴ지라, · 거늘, · 기에( · 기로), · 거든’과 같은 형식을 사실구속형이라고 분류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최근에 와서는어미 하나하나에 대하여 현미경적으로 그 통사 · 의미적인 특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보문화(補文化)나 접속화(接續化) 혹은 부정법(否定法) 등과 관련하여 활기를 띠고 있다. 부5 드래곤 슬롯어미는 그 정의상 문장을 종결시키지 못하는 것이지만, ‘이 밥을 먹어’나 ‘집에 가지’ 등에서 보듯이 문장을 종결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용법의 부5 드래곤 슬롯어미를 문자 그대로 종결어미로 다루는 일도 있으나, 부5 드래곤 슬롯어미 자체가 문장을 종결시키는 능력을 갖는다기보다는 부5 드래곤 슬롯어미에 수행적인 기능을 가지는 억양이 얹혀서 그 억양에 의하여 문장 종결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장 종결의 용법을 가지는 부5 드래곤 슬롯어미는 청자 경어법의 등급에 있어서 언제나 반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