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책·학생·가족(家族)·국민·물·불·평화·이상(理想)’ 등은 단 하나의 사물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물에 대하여 두루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통코인 슬롯로 분류된다.
고유코인 슬롯는 외연(外延)이 하나인 데 대하여 보통코인 슬롯는 외연이 적어도 둘 이상이며, 의미를 거의 또는 전혀 가지지 않는 고유코인 슬롯와 달리 보통코인 슬롯는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사물의 집합이 공유하는 속성을 내포적 의미로 가진다. 이 내포적 의미의 있고 없음이 고유코인 슬롯와 보통코인 슬롯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가령, ‘해·달·지구’ 등은 비록 외연이 하나이나,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다른 대상이 나타날 경우 같은 이름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고유코인 슬롯가 아니라 보통코인 슬롯로 분류된다. 역사상의 특정한 인물을 가리키는 ‘에디슨’은 고유코인 슬롯이나, ‘그는 한국의 에디슨이다.’라고 할 때에는 ‘발명가’라고 하는 내포적 의미를 가지고 쓰인 것이므로, 보통코인 슬롯이다.
넓은 의미의 보통코인 슬롯는 ‘사람·책·학생’과 같은 구상코인 슬롯(具象名詞), ‘가족·국민’과 같은 집합코인 슬롯(集合名詞), ‘물·불’과 같은 물질코인 슬롯(物質名詞), ‘평화·이상’과 같은 추상코인 슬롯(抽象名詞)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나, 좁은 의미로는 구상코인 슬롯만을 가리킨다.
생성문법에서는 [±구체성(具體性)]이라는 자질에 의하여 구상코인 슬롯·집합코인 슬롯·물질코인 슬롯와 추상코인 슬롯를 나누고, [±가산성(可算性)]이라는 자질에 의하여 구상코인 슬롯·집합코인 슬롯·추상코인 슬롯와 물질코인 슬롯를 나누고, [±유정성(有情性)]에 의하여 고등동물과 하등동물이나 식물 또는 무생물을 나누고, [±인간성(人間性)]에 의하여 인성코인 슬롯(人性名詞) 또는 사람코인 슬롯와 비인성코인 슬롯(非人性名詞)를 나눈다.
국어에서 구상코인 슬롯, 즉 좁은 의미의 보통코인 슬롯는 수관형사나 양화표현에 의한 수식이나 복수표지 ‘들’의 연결이 비교적 자유스러우나, 물질코인 슬롯는 수관형사에 의한 수식이나 복수표지 ‘들’의 연결이 제약되고, 집합코인 슬롯에 ‘들’이 연결될 때에는 집합 단위의 복수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단위 집합의 성원을 개체화하여 복수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추상코인 슬롯에는 복수표지 ‘들’의 연결이 부자연스러운 등의 문법적인 특성을 가진다.
쓰임에 따라서는 보통코인 슬롯가 대코인 슬롯적인 용법을 가질 수 있다. ‘아버지, 어머니, 소생(小生), 노형(老兄)’ 등이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보통코인 슬롯이나, 특정한 발화 상황에서 화자와 관련된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대코인 슬롯이다. →코인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