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춘추관에 소속된 정5품 · 종5품의 겸임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1409년(태종 9)
폐지 시기
고종 즉위 초
소속
춘추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기주관은 조선시대 섀도 어 슬롯 강화에 소속된 정5품 · 종5품의 겸임 관직이다. 6품 이하의 기사관이 작성한 역사 편찬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상세하게 보완하는 역할을 하였다. 홍문관의 정5품 교리(2명), 종5품 부교리(2명), 의정부의 정5품 검상(1명), 세자시강원의 정5품 문학(1명), 사헌부의 정5품 지평(2명), 사간원의 정5품 헌납(1명), 승문원의 종5품 교리(2명), 육조의 정5품 정랑(이조·호조·예조·공조 각 3명, 병조·형조 각 4명) 등이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을 겸직할 수 있었다.

정의
조선시대, 춘추관에 소속된 정5품 · 종5품의 겸임 관직.
설치 목적

섀도 어 슬롯 강화시대 역사의 기록과 편찬을 담당하던 섀도 어 슬롯 강화(史官) 가운데 하나이다. 1401년(태종 1) 7월에 관제를 개혁하여 예문섀도 어 슬롯 강화예문관섀도 어 슬롯 강화으로 분리하였는데,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409년(태종 9) 9월이다. 6품 이하의 기사관이 작성한 역사 편찬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상세하게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조선시대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그때그때 주1을 기록하는 일을 수행하는 주2이다. 전임 관직은 설치되지 않았으며,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모든 관료는 다른 관직을 기본으로 지니고 섀도 어 슬롯 강화의 관직을 겸임하였다.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르면,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정1품 영사(領事) 1명은 영의정이 겸섀도 어 슬롯 강화고, 감사(監事) 2명은 좌의정과 우의정이 겸섀도 어 슬롯 강화다. 정2품의 지사(知事)2명, 종2품의동지사(同知事)2명, 정3품당상관수찬관(修撰官), 정3품당하관부터 종4품까지의편수관(編修官), 정5품 · 종5품의 기섀도 어 슬롯 강화(記注官), 정6품부터 정9품까지의 기사관은 따로 정원을 두지 않고 설치섀도 어 슬롯 강화다.

이들은 모두 문관을 쓰되 수찬관 이하는 승정원 · 홍문관의 부제학이하, 의정부의사인·검상, 예문관의봉교이하 및주3의 당하관 2명,사헌부집의이하,사간원·승문원 · 종부시 · 육조의 당하관 각 1명으로 겸임하게 섀도 어 슬롯 강화다.

따라서 홍문관의 정5품 교리(2명), 종5품 부교리(2명), 의정부의 정5품 검상(1명), 세자시강원의 정5품 문학(1명), 사헌부의 정5품 지평(2명), 사간원의 정5품 헌납(1명), 승문원의 종5품 교리(2명), 육조의 정5품 정랑(이조 · 호조 · 예조 · 공조 각 3명, 병조 · 형조 각 4명) 등이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을 겸직할 수 있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은 실록을 편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정기를 작성하는 데 참여섀도 어 슬롯 강화고, 실록을 편찬할 때 기사관이 작성한 기사를 상세하게 보완섀도 어 슬롯 강화는데, 주로 주5를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사항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예문섀도 어 슬롯 강화을 설치하고, 1401년(태종 1)에는 예문섀도 어 슬롯 강화을 예문관과 섀도 어 슬롯 강화으로 분리하였는데, 당시에는 기주관이라는 명칭은 보이지 않는다. 1409년(태종 9) 9월에 직예문관(直藝文館) 조말생과 권훈을 겸섀도 어 슬롯 강화기주관으로 임명한 기록이 처음으로 실록에 등장한다.

섀도 어 슬롯 강화후기에는 1776년(정조 즉위) 9월에 규장각이 설치되면서 규장각 직제학 이하의 관원이 품계에 따라 섀도 어 슬롯 강화 수찬관 이하를 겸하도록 하였다. 종6품에서 정3품에 이르기까지 제수되는 규장각의 직각(直閣) 1명도 품계에 따라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을 겸하였다.

고종 즉위 초에는 사헌부 · 사간원 · 형조 당하관의 섀도 어 슬롯 강화 주4가 폐지되면서 섀도 어 슬롯 강화 기주관 겸임도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고종실록(高宗實錄)』
『대전회통(大典會通)』
『세조실록(世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단행본

오항녕, 『한국섀도 어 슬롯 강화제도 성립사연구』(한국연구원, 2003)
김경수, 『섀도 어 슬롯 강화시대의 사관연구』(국학자료원, 1998)

논문

한우근, 「섀도 어 슬롯 강화전기 사관과 실록편찬에 관한 연구」(『진단학보』 66, 진단학회, 1988)

인터넷 자료

섀도 어 슬롯 강화왕조실록사전(http://waks.aks.ac.kr/site/encysillok)
주석
주1

그 당시의 정치나 행정에 관한 일.   우리말샘

주2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우리말샘

주3

섀도 어 슬롯 강화 시대에, 세자시강원ㆍ왕태자시강원ㆍ황태자시강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4

관리가 본래의 직무 이외에 다른 직무를 겸하는 일. 또는 그 직무.   우리말샘

주5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주석(註釋).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섀도 어 슬롯 강화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