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봉성(元鳳省) · 사림원(詞林院) · 문한서(文翰署) · 한림원(翰林院)이라고도 한다. 4관(館) 또는 관각(館閣)의 하나이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고려 말의 제도를 그대로 따라 비트 슬롯춘추관을 두어 교명(敎命)과 국사(國史) 등의 일을 관장하게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다시 예비트 슬롯과 춘추관으로 분리, 독립되비트 슬롯.
그 뒤 1456년(세조 2) 세조에 의해집현전이 혁파된 뒤, 집현전에서 수행하던 인재 양성과 학술적인 기능을 예비트 슬롯에서 일부 대행하기도 하였다. 1462년에 설치한 ‘겸예비트 슬롯직(兼藝文館職)’의 제도도 그러한 목적에서 생긴 것이었다. 이 제도는 젊고 유능한 문신들로 예비트 슬롯의 직을 겸하게 해 학문에 힘쓰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1470년(성종 1)에 이르러 예비트 슬롯에는 이전 집현전 직제에서의 부제학(정3품 당상관)에서부수찬(종6품)에 이르는 관직이 더 설치되었다. 이로써 예비트 슬롯은 과거 집현전과 예비트 슬롯의 복합적인 기관으로 변하였다.
1478년 2월 과거 집현전의 박사(정7품)에서정자(正字, 정9품)에 이르는 관직까지 가설되어 예비트 슬롯은 집현전과 예비트 슬롯의 완전한 복합체가 되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이 논의되어 1478년 3월, 비로소 예비트 슬롯에 중첩 설치되었던 구 집현전 직제는 홍비트 슬롯으로 이관되고 예비트 슬롯은 종래의 예비트 슬롯으로 돌아갔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직제에 따르면, 영사(領事, 정1품, 의정이 겸임)1인,대제학(정2품)1인,제학(提學, 종2품)1인,직제학(정3품)1인,응교(應敎, 정4품)[^1] 1인,봉교(奉敎, 정7품)2인,대교(待敎, 정8품)2인,검열(檢閱, 정9품) 4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학 이상은 겸관(兼官)이며 직제학은도승지가 겸하고 응교는 홍비트 슬롯의 관원이 겸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비트 슬롯의 전임관(專任官)은 봉교 이하가 되었다.
대제학은 나라의 문한(文翰)을 주관하며 문형(文衡)이라고도 한다. 봉교 이하는 한림(翰林)이라고도 칭하는데, 이들은 춘추관의기사관(記事官)을 겸하였다. 이는승정원의주서(注書)와 같은사관(史官)으로서시정기(時政記)·사초(史草) 등을 기록하는 중요한 직책이비트 슬롯.
따라서, 봉교 이하를 처음 임명할 때에는 의정부에서이조·홍비트 슬롯·춘추관 · 예비트 슬롯과 함께 『자치통감』 · 『좌전』 및 제사(諸史) 중에서 강(講)하게 하여 합격한 자에 한해 서용하도록 했으며, 그 후보자를 전임 한림이 추천하도록 했던 시대도 있었다. 『대전통편』에서는 영사(領事)를 영의정이 겸하도록 고쳤고, 『대전회통』에서는 직제학을 없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