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슬롯 자간박기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조선시대, 활자의 조판 과정에서 활자와 활자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나무 조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자간박기는 금속야마토 슬롯의 인쇄 과정에서 균자장(均字匠)이 야마토 슬롯를 조판할 때 전공휴지(塡空休紙), 전공목(塡空木), 재상휴지(灾傷休紙) 등과 함께 사용한 조판 재료 중 하나이다. 자간박기는 나무 또는 대나무를 얇게 깎아 조립식 조판에서 야마토 슬롯 사이에 끼워 넣어서 간격을 조절하고 인쇄 도중 야마토 슬롯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그밖에 야마토 슬롯 조판에서 야마토 슬롯와 계선(界線) 사이의 빈틈은 전공휴지를 사용하여 메웠고, 서로 다른 야마토 슬롯 간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바닥 부분에 재상휴지 또는 백휴지 등을 넣어 그 높이를 맞추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활자의 조판 과정에서 활자와 활자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나무 조각.
내용

야마토 슬롯 인쇄 과정에서주1균자장(均字匠)이 하는 작업이다. 균자장은 철우리(鐵亐里) 내에서 야마토 슬롯의 높이, 야마토 슬롯 간의 간격, 야마토 슬롯와 계선(界線)의 간격을 종이와 대나무 조각 등으로 조절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판을 짜는 사람이다. 자간박기(字間朴只)는 균자장이 야마토 슬롯 조판을 위해 나무 또는 대나무 등을 얇게 다듬어 사용하는 여러 재료 중의 하나로, 야마토 슬롯 사이의 아래위 틈에 적절한 두께로 자간박기를 끼워 넣어 야마토 슬롯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인쇄 중에 야마토 슬롯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데에 사용한 재료이다. 야마토 슬롯가 배열되지 않는 비교적 넓은 공간은 자간박기 대신 전공목(塡空木)으로 공간을 채워 야마토 슬롯를 고정시켰다.

야마토 슬롯를 조판하는 방법에는 고착식과 조립식의 두 가지가 있다. 고착식은 고정된 인쇄판 틀 바닥에 밀랍을 깐 후 야마토 슬롯를 배열하고 평평한 판으로 위를 눌러 야마토 슬롯면을 고르게 한 후 밀랍이 굳으면 인쇄하는 방식이고, 조립식은 밀랍 대신 대나무 조각 또는 파지 등을 사용하여 조판하는 방식이다. 1403년에 주조한 계미자(癸未字)는 고착식으로 조판하여 책을 인쇄하였는데, 야마토 슬롯가 자주 흔들려 하루 인쇄량이 주2에 불과할 정도로 인쇄 능률이 좋지 못하였다. 이후 1420년에 경자자(庚子字), 1434년에갑인자(甲寅字)로 야마토 슬롯가 개량되면서 조립식으로 야마토 슬롯를 조판하였는데, 하루 인출량이 경자자에서는 20여지, 갑인자에서는 40여지로 크게 향상되었다. 이로 볼 때, 조립식이 고착식보다 발전된 조판 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현종실록찬수청의궤(顯宗實錄纂修廳儀軌)』, 『영종실록찬수청의궤(英宗實錄纂修廳儀軌)』 등 각종 찬수청의궤 등에는 자간박기를 비롯한 전공휴지(塡空休紙), 정결휴지(精潔休紙), 전공대나무, 재상휴지(灾傷休紙) 등 자간박기와 함께 야마토 슬롯 조판에 사용된 다양한 재료들을 찾아볼 수 있다. 같은 행의 야마토 슬롯 사이 간격을 조절할 때는 자간박기를 사용하였으며, 야마토 슬롯와 계선 사이에 빈틈이 생기면 전공휴지를 사용하여 그 빈틈을 메웠고, 서로 다른 야마토 슬롯 간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바닥 부분에 물에 적신 재상휴지 또는 마른 상태의 백휴지 등을 넣어 높이를 맞추었다.

참고문헌

원전

『현종실록찬수청의궤(顯宗實錄纂修廳儀軌)』
『영종실록찬수청의궤(英宗實錄纂修廳儀軌)』

논문

청주고인쇄박물관, 『2007 조선왕실 주조 금속야마토 슬롯 복원사업 결과보고서』(청주고인쇄박물관, 2007)
주석
주1

원고에 따라서 골라 뽑은 야마토 슬롯를 원고의 지시대로 순서, 행수, 자간, 행간, 위치 따위를 맞추어 짬.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2

쓸모없는 종이.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야마토 슬롯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야마토 슬롯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