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보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활자로 책을 간행할 때 부족한 활자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로 제작한 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m 2 슬롯는 활자로 책을 간행할 때 부족한 글자를 보충하기 위해 만든 활자이다. 금속활자를 오랫동안 사용하여 글자면의 마모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와 여러 종류의 책을 동시에 간행할 때 부족한 활자를 보충하기 위한 경우에 m 2 슬롯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목차
정의
활자로 책을 간행할 때 부족한 활자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로 제작한 활자.
내용

m 2 슬롯(補字)는 부족한 글자를 보충한다는 의미로, 활자로 책을 간행할 때 부족한 활자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로 제작한 활자이다. m 2 슬롯는 금속m 2 슬롯를 보주(補鑄)하거나, 목m 2 슬롯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m 2 슬롯를 제작하는 이유는 활자가 오래 사용되는 동안 마모가 심해져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활자의 분실 등으로 활자가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목활자는 금속활자에 비해 제작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비교적 쉽게 제작할 수 있었기 때문에 m 2 슬롯로는 대체로 목활자가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는 종별로 적게는 수만 자, 많게는 수십만 자를 주조하였고, 한번 주조한 활자는 오랜 기간 사용하였다. 1403년에 제작된 계미자는 1420년에 경자자가 주조되어 그 기능을 대체할 때까지 사용하였고, 1434년에 주조된 갑인자는 1584년 재주갑인자가 제작될 때까지 150년간 사용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활자들은 수십 년 이상 사용되어 글자 획이 닳아 가늘어지고, 마모가 심해져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모양이 일그러지기도 한다. 이 경우에 활자를 큰 규모로 보주하기도 하였는데 이 활자를 보주활자(補鑄活字)라 하였다. 천혜봉 교수는 보주활자가 사용된 인본의 판종은 활자명에 ‘혼입m 2 슬롯본(混入補字本)’을 붙여서 불렀다. 예를 들면, 갑인자에 보주한 갑인자를 주1 인쇄하였다면 ‘갑인자혼입m 2 슬롯본(甲寅字混入補字本)’이라 칭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금속활자가 마모되거나 분실되었을 경우, 간행할 서적이 많아 동시에 여러 판을 조판할 경우, 보유한 활자가 부족할 때 m 2 슬롯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간역 사업에서 부족한 활자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목활자가 금속활자보다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m 2 슬롯로는 주로 목활자가 사용되었다. 중앙의 출판 기관에는 이러한 이유로 실록 등을 간행할 때 제도적으로 m 2 슬롯관(補字官)을 두어 이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19세기 전반에 작성된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과 실록의 수정이나 찬수청의궤류(纂修廳儀軌類)의 『별공작등록(別工作謄錄)』에는 조판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용도가 표시된 도구가 기록되어 있다. 그중 m 2 슬롯와 관련된 물품으로 ‘m 2 슬롯소용자작판(補字所用自作板)’과 ‘각도(刻刀)’, ‘m 2 슬롯백지(補字白紙)’가 있다. m 2 슬롯소용자작판은 활자 배열 중 모자라는 글자를 새기는 용도의 자작나무판인데, m 2 슬롯목(補字木)으로는 황양목(黃楊木)도 자주 사용되었다. m 2 슬롯백지는 부족한 글자를 쓰는 용도의 흰 종이를, 각도는 글자를 새기는 칼을 말한다.

m 2 슬롯는 본래 활자와 유사한 서체로 써서 황양목 등에 새겨서 만들었다. 금속활자 인쇄본에서 목활자를 m 2 슬롯로 사용한 책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활자 주조 후 초기에 인출된 인본에서는 m 2 슬롯 사용이 비교적 적은 편이나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 인쇄된 책에서는 m 2 슬롯가 혼용된 경우가 많다. m 2 슬롯로 사용된 목활자는 서체와 먹색의 진하기 등으로 쉽게 구별되는데, m 2 슬롯가 많이 사용된 인본들은 대체로 인쇄 품질이 좋지 못하다.

참고문헌

원전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

단행본

청주고인쇄박물관, 『금속m 2 슬롯 주조 및 인쇄기술사 복원연구 결과보고서』(청주고인쇄박물관, 2006)

논문

강순애, 「초주갑인자혼입m 2 슬롯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45, 한국서지학회, 2010)
옥영정, 「조선시대 인쇄관청의 m 2 슬롯인쇄장인 연구」(『韓國文化』 4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천혜봉, 「甲寅字本 鑑識의 諸問題」(『蒼史李春熙敎授定年紀念論叢』, 1993)
주석
주1

한데 섞이어 들어감. 또는 한데 섞음.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m 2 슬롯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m 2 슬롯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