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의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과 관련된 사항은 일반적으로 책의 말미에 기록되는데 이를 간기(刊記)라 한다. 간기는 책의 간행연월, 간행지, 간행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고서의 간행 경위를 파악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기는 간혹 그림이나 사각 형태의 테두리 속에 기록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木記)라 한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다시 도기(圖記)와 패기(牌記)로 구분한다. 도기는 종(鐘)이나 솥, 술잔 등의 기물을 그리고 그 안에 간행과 관련한 사항을 새긴 것이고, 패기는 주2 또는 아형(亞形)의 모양을 그린 후 그 안에 주3 사항을 기록한 것이다.
일본국어대사전(日本國語大辭典)에는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를 “권말에 테두리로 둘러싼 간기로, 중국에서는 원(元) · 명(明) 시대에 많이 행해졌으며 일본 에도시대 서적에서도 볼 수 있다. 특히 불서(佛書) 관계 책에 많다. 그 간기가 1행인 경우는 단행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單行木記), 2행의 경우는 쌍행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雙行木記)라고 하는데 삼행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도 있다. 또한 연꽃을 받침으로 하여 그 잎을 지붕처럼 만든 것을 연꽃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蓮台木記) 또는 연패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蓮牌木記)라고도 한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또 일본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에는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를 “중국 서적에 있어서, 간행시기, 간행지, 간행자의 이름 등을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한 부분을 말하며, 간기 또는 패기라고도 한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기'는 인기(印記) · 도기(圖記)의 기와 같은 인판(印判) · 인형(印形)의 의미로, 상기의 표시를 전서(篆書) 등의 특별한 자체를 이용하거나, 주위를 프레임으로 둘러싸서 인판을 연상케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이름이 있다. 이 표시를 하는 습관이 언제 시작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송(宋)의 남도(南渡, 1127) 이후로는 활발히 행해졌다.”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설명하고 있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중국의 전적에서 자주 나타나며, 우리나라의 고서에는 권말에 사각 테두리 안에 기록된 것이 자주 나타난다. 1608년에 간행된 『대학장구혹문(大學章句或問)』의 권말에는 사각 테두리 안에 두 줄로 “만력무신동/청주목신간(萬曆戊申冬/淸州牧新刊)”이 기록된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가 있고, 1767년에 간행된 『병학지남(兵學指南)』에는 “정미신간/장영장판(丁未新刊/壯營藏板)”이라고 새겨진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가 있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에 기록된 내용은 대체로 간행시기와 장소, 책판이 보관된 장소 등의 정보이다. 『대학장구혹문』의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를 통해서는 만력 무신년(1608)에 청주목에서 새로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고, 『병학지남』의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를 통해서는 정미년(1767)에 장영에 보관된 책판으로 인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런 형태로 간행시기와 장소 등을 기록한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다수의 책 권말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00년대에 들어와서는 간행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판권면을 별도의 목판으로 인출하여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에 첨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