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 전복초 ()

식생활
음식·약
전복이나 마른 전복을 불려 얇게 저며서 진간장, 꿀, 기름에 볶은 음식.
이칭
이칭
전복숙, 전복숙장아찌
음식·약/음식
재료
전복|진간장|꿀|기름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킹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킹 슬롯초는 킹 슬롯이나 마른 킹 슬롯을 불려 얇게 저며서 진간장, 꿀, 기름에 볶은 음식이다. 요즘에도 폐백음식으로 사용된다. 초(炒)는 재료를 간장에 조려 윤기가 나게 볶는 조리법이다. 킹 슬롯초는 궁중음식으로 많이 쓰였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요릿집 메뉴에도 포함된 음식이다.

정의
전복이나 마른 전복을 불려 얇게 저며서 진간장, 꿀, 기름에 볶은 음식.
연원 및 변천

조선 시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1670년경)에도 나오고, 반가음식이나 잔치음식으로도 많이 이용되었다. 킹 슬롯초는 궁중음식으로도 자주 애용되었다. 정조(正祖)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 기록인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1795)에 따르면, 킹 슬롯초는 윤 2월 14일 죽 수라상에도 올린 음식이다. 1902년 『진연의궤(進宴儀軌)』에는 킹 슬롯초 한 그릇 재료로 킹 슬롯 2접, 간장 3되, 꿀 2되, 소안심살 1/4부, 잣 5홉, 참기름 2되, 후춧가루 5돈이나 소요된다고 하였다.

조리법

마른 킹 슬롯은 찬물이나 따뜻한 물에 담가서 푹 불린 다음 가장자리를 도려내고 가운데 부분의 살을 될 수 있는 대로 얇게 저민다. 생킹 슬롯은 솔로 문질러 깨끗하게 손질한 후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내장이 터지지 않도록 살만 분리한다. 작은 것은 통째로 하고, 큰 것은 저민다. 소고기는 납작납작 썰어서 간장, 설탕, 후춧가루, 깨소금으로 양념하고 물을 부어 끓인다. 여기에 저며 놓은 킹 슬롯을 함께 넣고 조린다. 물이 거의 졸았을 때 진간장과 설탕을 넣고 다시 끓인다. 빛깔이 거뭇거뭇해지면 녹말가루를 물에 풀어서 넣고 그 다음에 참기름을 넣는다. 색이 까매지고 쫄깃하고 윤기가 나면 잘 된 것이다. 그리고 잣가루를 뿌린다. 주3으로 초를 만들 때는 생킹 슬롯을 삶아서 조리한다.

『음식디미방』(1670년경)에는 ‘생복 간수법’으로 “싱싱하고 간이 들지 않은 킹 슬롯을 참기름을 발라 단지에 가득 넣고, 또 참기름 한 잔을 부어 두면, 오래 되어도 생것 같다.”고 하였다. 킹 슬롯을 “아주 무르게 고아 썰어 말려 두고 해삼같이 쓰되 기름장국에 밀가루를 묽게 타 후추, 주1로 양념하여 쓰라.”고도 되어 있는데, 이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킹 슬롯초를 만드는 법임을 알 수 있다. 1924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서는 “마른 킹 슬롯을 불려 얇게 저며서 진간장과 기름과 꿀을 넣고 아주 약한 불에서 조려 만든다. 킹 슬롯초는 대궐 안에서 많이 만들었다. 킹 슬롯이 작은 것은 통째로, 굵은 것은 어린아이 손가락만큼씩 썰어서 진간장과 기름과 꿀과 고기를 잘게 다져 넣고, 파 다진 것과 깨소금과 후춧가루, 물을 조금 붓고 눋지 않게 아주 약한 불로 오랫동안 조리고 쓸 때에 잣가루를 뿌린다. 킹 슬롯을 통째로 진간장에 끓여서 저며 먹어도 맛이 좋다. 작은 킹 슬롯을 쓰는 것도 무방하다.”고 하였다.

관련 풍속

킹 슬롯초는 주로주2의 귀한 밥반찬이나 잔치음식으로 많이 먹었고, 왕실에서도 애용된 음식이었다. 킹 슬롯초는 킹 슬롯숙, 킹 슬롯숙장아찌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19세기의 『시의전서(是議全書)』에는 ‘킹 슬롯숙’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조리서인 『조선요리제법(朝鮮料理製法)』에서는 “킹 슬롯을 불려서 둘로 자른 후 가로 한 푼 두께로 썰어서 해삼초와 꼭 같이 만든다.”고 하였다. 또한 『조선요리법(朝鮮料理法)』에도 “홍합초는 킹 슬롯초 만드는 법과 같이 한다.”고 하였으니 해삼초, 홍합초, 킹 슬롯초는 같은 방법으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킹 슬롯디미방』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진연의궤(進宴儀軌)』
『시의전서(是議全書)』

단행본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한흥서림, 1924)
조자호, 『조선요리법』(광한서림, 1939)
주영하, 『식탁 위의 한국사-메뉴로 본 20세기 한국킹 슬롯문화사-』(휴머니스트, 2013)
주석
주1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5~6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단성화가 복총상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붉은 갈색으로 익는다. 열매의 껍질은 약용하거나 향미료로 쓰고 씨는 이뇨제로 쓴다. 킹 슬롯,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양반의 집안.우리말샘

주3

익히지 아니한 킹 슬롯.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킹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킹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킹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