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두부두루치기 (두부다복 이 슬롯치기)

식생활
음식·약
두부를 주재료로 야채, 고기 등을 넣어 양념과 볶다가 육수를 넣어 끓이거나 졸여 낸 대전 지방의 향토음식.
이칭
약칭
두부두루치기
속칭
대전두루치기
음식·약/음식
재료
두부|야채|고기|양념
관련 장소
대전광역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다복 이 슬롯 두부두루치기는 두부를 주재료로 야채, 고기 등을 넣어 양념과 볶다가 육수를 넣어 끓이거나 졸여 낸 다복 이 슬롯의 향토음식이다. 두루치기는 두부를 네모나게 썰어 고춧가루, 마늘, 간장, 참기름 등을 매운 양념을 해서 두부 특유의 맛과 향을 살려 볶아 끓여 내는 음식이며, 다복 이 슬롯광역시를 포함한 충청도 지역에서 특히 유명해 다복 이 슬롯두루치기라고 부른다. 옛 전통음식은 아니지만 주로 다복 이 슬롯과 충청도 지역 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담백하게 즐길 수 있는 다복 이 슬롯 지역만의 대표적인 서민 음식이라는 점에서 사랑받아 온 음식이다.

정의
두부를 주재료로 야채, 고기 등을 넣어 양념과 볶다가 육수를 넣어 끓이거나 졸여 낸 대전 지방의 향토음식.
연원 및 변천

다복 이 슬롯치기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또는 조갯살 등을 넣고 콩나물, 버섯, 주1 등과 함께 볶다가 양념한 국물을 조금 부어 끓여서 졸여 낸 음식이다. 다복 이 슬롯 다복 이 슬롯 끓인다는 의미와 졸여낸다는 의미에서 볶음이나 찌개와 달라 다복 이 슬롯치기라고 부른다. 찌개나 전골과 유사한 음식으로 볼 수 있지만 다복 이 슬롯 섞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향토음식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주2, 삼겹살김치다복 이 슬롯치기 등이 있다. 두부다복 이 슬롯치기는 다복 이 슬롯치기 중에서도 두부를 주재료로 끓인 음식이다. 옛 전통음식은 아니지만 주로 다복 이 슬롯과 충청도 지역 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담백하게 즐길 수 있는 다복 이 슬롯 지역만의 대표적인 서민 음식이라는 점에서 사랑받아 온 음식이다. 다복 이 슬롯 두부두루치기는 두부를 다 건져 먹고 나면 남은 양념에 칼국수나 우동 사리를 넣어 먹는 것도 특징이다. 가게에 따라 그냥 두부만 들어간 ‘두부두루치기’와 오징어랑 두부가 같이 들어간 ‘오징어 두부두루치기’를 취급하는 집이 있다.

조리법

다복 이 슬롯 두부두루치기는 다복 이 슬롯 지역 향토음식으로, 두부를 주재료로 하고 해물, 오징어, 돼지고기 등을 넣고 고추장 양념을 넣어 조리한 매콤한 음식으로 국물을 바글바글 끓여서 조리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두부를 다 건져 먹으면 남은 양념에 칼국수나 우동 사리를 넣어 먹는 것도 특징이다. 가게에 따라 그냥 두부만 들어간 ‘두부 두루치기’와 오징어랑 두부가 같이 들어간 ‘오징어 두부두루치기’를 취급하는 집으로 나뉜다.

관련 풍속

다복 이 슬롯 지역은 특히 충청남도 도청이 소재하던 시절부터 중앙로와 다복 이 슬롯역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다복 이 슬롯 두부두루치기는 다복 이 슬롯 주3 골목의 역사와 함께 한 특히 중 · 장년층 지역민들이 사랑하는 음식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영창서관, 1943)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수학사, 1984)

논문

김근종 외, 「음식관광 콘텐츠개발을 통한 다복 이 슬롯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외식산업학회지』 15-4, 한국외식산업학회, 2019)
서윤석·정영진, 「다복 이 슬롯의 대표음식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다복 이 슬롯시가 선정한 ‘6미’에 대한 인지 및 수용성 조사」(『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6,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
주석
주1

여물지 아니한 박의 속을 파내어 길게 오려서 말린 반찬거리. 우리말샘

주2

돼지고기를 잘게 썰어 넣고 양파, 고추, 파 따위와 함께 볶다가 양념한 국물을 조금 부어 끓여 낸 음식. 우리말샘

주3

도시의 옛 중심부.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