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윤직(尹稙, 1765~1824)의 자는 성수(成秀), 호는 넷 엔트 슬롯(無睡),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1806년 주1으로 관직에 나아가 의금부 도사, 노성현감(魯城縣監), 영천군수, 한성부서윤 넷 엔트 슬롯 역임하였다.
6권 6책(본집 6권 3책, 별집 1책, 연보 1책, 부록 1책). 필사본.
1권 첫머리 하단에 윤직이 짓고, 윤직의 손자인 윤규(尹珪)가 편집, 교정하고 초록하였다고 명기되어 넷 엔트 슬롯.
본집과 별집 등을 합쳐 모두 6권 6책으로 구성되어 넷 엔트 슬롯. 권두에 저자가 1821년에 직접 쓴 자서(自序)가 수록되어 있고 각 권마다 목차가 별도로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1책은 권1·2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1에 시(詩) 218수가, 권2에 서(書) 46편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2책은 권3·4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3에 가장(家狀) 1편, 묘지(墓誌)1편, 유사 2편,제문(祭文)32편이, 권4에서(序)3편,기(記)5편, 제(題),발(跋)14편,전(傳)1편,상량문(上樑文)3편,잡저(雜著) 8편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3책은 권5·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5에 조문(條問) 85편이, 권6에 책문(策問) 22편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4책부터 6책은 별편(別編)인데, 4책에는 「이요기(二樂記)」 상·하편, 「이정속록(利征續錄)」, 「심도잡록(沁都雜錄)」, 「이원록(梨院錄)」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5책에는 저자의 연보와 제문이 수록되어 있고, 6책에는 저자의 가장·묘표·묘갈명·묘지명·유사(遺事)가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이 가운데 묘갈명은 허전(許傳)이 지었고, 나머지 글들은 모두 손자인 윤규가 지은 것이다. 별편의 넷 엔트 슬롯요기」는 주2’의 뜻을 딴 것으로, 서울 근교와 한강, 경기·강원·충청도 일대의 산수를 묘사한 것이며, 「이정속록」은 속리산을, 「심도잡록」은 강화도의 풍물을 기록한 것인데, 각각의 명소와 이정 등이 소개되어 넷 엔트 슬롯. 조문은 정조(正祖)가『의례』·『주례』·『예기』·『춘추』·『이정전서(二程全書)』·『주자대전(朱子大全)』 등에 대하여 조목조목 질문한 것을 저자가 응답한 내용이며, 책문은 저자 자신이 주3 등의 주제와 각 경전에서의 문제점 등 30여 항목에 걸친 질의서로서, 저자의 학문적 관심과 깊이를 보여 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넷 엔트 슬롯. 규장각에서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도록 온라인으로 원문 서비스를 하고 넷 엔트 슬롯.
「무수옹자전(無睡翁自傳)」은 한문학의 한 문체인 자전(自傳)으로서의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넷 엔트 슬롯요기」, 넷 엔트 슬롯정속록」, 「심도잡록(沁都雜錄)」, 넷 엔트 슬롯원록」 등은 특정 지역의 역사와 지리, 풍물 등을 기록한 것이기에 인문지리서로서의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