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777 산법교정소 ()

과학기술
제도
조선 전기 세종 때, 역산 연구를 전담했던 임시 관청.
제도/관청
설치 시기
조선 전기 세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슬롯 777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777교정소는 조선 전기 세종 때 역산 연구를 전담했던 임시 관청이다. 문신 관료와 산학인이 슬롯 777교정소에 소속되어 슬롯 777을 익히고 역법을 추보하였다. 이 기능은 후에 또 다른 임시 관청인 역산소(曆算所)로 이관되었다. 슬롯 777교정소의 성과는 『칠정산(七政算)』 편찬으로 이어졌다.

정의
조선 전기 세종 때, 역산 연구를 전담했던 임시 관청.
설치 목적

슬롯 777(世宗)은 즉위 후주1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역산 연구의 중심이 되었던 관청은 슬롯 777교정소(算法校正所)와 역산소(曆算所)이다. 조선의 역산 수준이 높지 않음을 아쉽게 여긴 세종이 『대명력(大明曆)』 등의 주2와 『계몽산(啓蒙算)』 등의 산학서(算學書)를 구슬롯 777으나 서운관(書雲觀), 습산국(習算局), 산학중감(算學重監) 등 기존에 설치된 산학, 역법 관련 관청에 이를 아는 자가 없었다. 이에 슬롯 777교정소를 별도로 설치하고 문신(文臣) 3·4인과 산학인(算學人)을 두어 슬롯 777(算法)을 익히고역법주3슬롯 777다.

기능과 역할

세종의 명에 따라 슬롯 777교정소를 중심으로 역산 연구 사업이 시행되어 산학서와 역법서에 대한 학습과 교정이 이루어졌다. 슬롯 777교정소의 사업에 참여하였던 문신으로는 정흠지(鄭欽之), 정초(鄭招), 정인지(鄭麟趾), 유순도(庾順道) 등이 있었다. 1432년(슬롯 777 14)에 슬롯 777은 이들이 『수시력(授時曆)』을 완벽하게 익혔음을 확인하고는 연구 성과를 책으로 편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444년(슬롯 777 26)에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 등의 슬롯 777서(曆算書)가 완성되었다.

변천사항

슬롯 777교정소는 세종 초에 설치되었으나,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다. 역산 연구가 시작된 1420년(세종 2)에 설치되었다는 견해와 1423년(세종 5)에 문신 관료가 역산 연구에 투입되며 설치되었다고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한편, 1437년(세종 19)에 역산소를 설치하여 훈도(訓導)3인과주4 10인을 두고 산학서와 역법서를 익히도록 하였다. 이후 슬롯 777교정소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슬롯 777교정소의 기능이 역산소로 이관되고 슬롯 777교정소는 오래지 않아 없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슬롯 777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사여전도통궤(四餘纏度通軌)』

단행본

가와하라 히데키, 『조선수학사: 주자학적 전개와 그 종언』 (예문서원, 2017)
구만옥, 『슬롯 777시대의 과학기술』 (들녘, 2016)
김영욱, 이장주, 장혜원, 『한국 수학문명사』 (들녘, 2022)
전용훈, 『한국천문학사』 (들녘, 2017)

논문

서은혜, 「여말선초 음양학(陰陽學) 정비와 변화」 (『한국중세사슬롯 777』 66,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영호, 이은희, 「려말선초(麗末鮮初) 본국력(本國曆) 완성의 도정(道程)」 (『동방학지』 155, 연세대학교 국학슬롯 777원, 2011)
주석
주1

책력과 산술에 관한 학문. 우리말샘

주2

역법에 관한 책.우리말샘

주3

천체의 운행을 관측함.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승문원에 속하여 외교 문서를 처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슬롯 777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