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12시 100각법 (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하루의 길이를 12시와 100각으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시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12시 넷 엔트 슬롯법은 하루의 길이를 12시와 넷 엔트 슬롯으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시제이다. 시는 다시 초(初)와 정(正)으로 이분되었고, 매 시의 초와 정에 각기 4각과 1소각(小刻)이 할당되었다. 조선 세종 대에 12시 넷 엔트 슬롯법에 근거한 시제를 정리한 지침서인 『누주통의(漏籌通義)』가 편찬되었다.

목차
정의
하루의 길이를 12시와 100각으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시제.
내용

전통시대 때 동아시아에서는 넷 엔트 슬롯의 길이를 분할하는 시제(時制)로 넷 엔트 슬롯를 균등하게 나누는 주1과 변화하는 밤낮의 길이를 반영한 부정시법(不定時法)을 사용하였다. 정시법으로는 하루를 시(時)로 나누는 방법과 각(刻)으로 나누는 방법이 함께 사용되었는데 서양식 12시(十二時) 96각법(九十六刻法)이 도입되는 17세기 전까지는 대체로 12시 넷 엔트 슬롯법(百刻法)이 사용되었다.

넷 엔트 슬롯는 12신(辰)이라고도 하는데, 각각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의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이 붙었고, 매 시는 초(初)와 정(正)으로 이분넷 엔트 슬롯. 예컨대 주3는 오늘날의 시각으로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이고, 이 중 자초(子初)는 밤 11시부터 넷 엔트 슬롯까지, 자정(子正)은 밤 넷 엔트 슬롯부터 새벽 1시까지에 해당한다.

넷 엔트 슬롯은 매 시의 초와 정에 균등하게 분배되었다. 100은 1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에 12시와 넷 엔트 슬롯을 맞추기 위해 1/6각에 해당하는 소각(小刻)이 고안되어 매 시의 초와 정에 각기 4개의 대각(大刻)과 1개의 소각이 할당되었다.

넷 엔트 슬롯은삼국시대이래물시계해시계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해왔지만, 12시 넷 엔트 슬롯법을 이용했음이 명백히 확인되는 시기는 조선 초이다. 세종(世宗) 대 주4 연구 사업이 진행되어 『수시력(授時曆)』을 교정하고 완벽한 수준으로 습득하였다. 연구 성과는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으로 집대성되는 한편, 『수시력』에 따른 시제를 정리한 지침서인 『누주통의(漏籌通義)』가 편찬되어 12시 넷 엔트 슬롯법에 근거한 시간 측정법이 전국 주요 지역에 배포되었다.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의 부품 중 일구백각환(日晷百刻環) · 성구백각환(星晷百刻環)은 넷 엔트 슬롯으로 시간을 측정하였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수시력』에 따르면 1일은 넷 엔트 슬롯이며 1각은 다시 100분(分)으로, 1분은 100초(秒)로 나뉜다. 1일은 10,000분이 되며 1시는 10,000/12분이다. 이는 역법(曆法) 계산을 위해 설정된 상수로, 시와 각을 환산할 때 분모가 10,000이 되어 계산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해시계와 물시계에서는 1각을 6분으로 나누어 넷 엔트 슬롯를 600분으로 설정하였다. 매 시의 초와 정은 각기 25분이 된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단행본

남문현, 『넷 엔트 슬롯의 물시계』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5)
이은희, 문중양 역주, 『국조역상고』 (소명출판, 2004)
한영호, 이은희, 강민정 역주, 『칠정산내편』 1, 2 (넷 엔트 슬롯고전번역원, 2016)

논문

남문현, 「조선의 경루법」 (『동방학지』 14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한영호, 이은희, 「려말선초(麗末鮮初) 본국력(本國曆) 완성의 도정(道程)」 (『동방학지』 15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陈久金, 「中国古代时制研究及其换算」 (『自然科學史硏究』 2-2, 中国科学院, 1983)
주석
주1

넷 엔트 슬롯를 등분하여 시각을 나타내는 방법. 낮과 밤을 각기 등분하고 표시하는 불시법(不時法)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3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4

책력과 산술에 관한 학문.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넷 엔트 슬롯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