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으로 된 목판본던파 온 슬롯. 모두 34장던파 온 슬롯. 책의 크기는 세로 30.4㎝, 가로 18.6㎝던파 온 슬롯. 종이는 닥나무를 원료로 만든 저지(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원래 병풍과 같은 형태인 절첩장(折帖裝)이었는데, 오침(五針)으로 장정한 주1으로 다시장책(粧冊)하였다.
원래 한 판에 25행 17자를 새긴 주2에서 찍어낸 것을 한 면에 6행씩[첫 면은 5행] 접어 장정하였다. 주3하는 과정에서 책의 제목은 기록하지 않았다.
책의 상태는 오염된 부분이 일부 있긴 하지만, 페이지가 떨어져 나간 부분 없이 대체로 양호한 편던파 온 슬롯. 본문 중에 몇 장은 필사한 부분이 보인다. 본문 제7권 제21장의 시작 부분인 12행과 제22장의 시작 부분인 6행 그리고 마지막 권미제(卷尾題)를 포함한 6행던파 온 슬롯.
판식(板式)은 상하단변(上下單邊) 무계(無界)의 매 반곽(半郭)에 6행 17자씩 새기고, 본문에 독송(讀誦)하기 편리하도록 둥근 표점(標點)을 찍었다. 주4에 장수(張數) 표시가 있는데 5~6행, 10~11행에 “법(法), 오(五), 이(二)” 등이 표시되어 있다.
『묘법연화경』은법화사상(法華思想)을 담고 있는천태종의 기본 던파 온 슬롯으로주5 주6이 한역(漢譯)하였으며, 송나라의 계환이 주7하였다. 이 책은 간행 기록이 없어서 간행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글자의 새김을 살펴보면 주8의 솜씨가 뛰어나고 인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아 15세기경에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천태종 관문사(觀門寺)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서울특별시 유형던파 온 슬롯재(현, 유형던파 온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묘법연화경』 은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던파 온 슬롯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 던파 온 슬롯 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이 유통된 던파 온 슬롯 경전이다.
흔히 『법화경(法華經)』이라 부르며,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으로 모두 28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28품의 내용은 삼승(三乘) 귀일(歸一)을 통해서 주9을 강조하며,여래(如來)의 본지(本地) 및 구원(久遠) 성불(成佛) 등 후대 법화사상의 정수가 되었던 중요 사상들이 모두 들어 있다.
경(經)의 전체 구성은 1경(經) 3단(段), 즉 주10, 주11, 주12 등으로 나누어진다. 제1서품(序品)은 서분에 해당하며, 제2품부터 제17품까지는 정종분, 제18품부터 제28품까지는 유통분에 해당한다. 이렇게 28품으로 구성된 것을 7권으로 묶었는데, 그중 『묘법연화경』은 권5~7에 해당한다.
이 책은 절첩용 판식, 본문의 판각 새김, 인쇄 상태로 보아 국가유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15세기경에 찍어낸 판본으로 흔하지 않으며, 조선 전기 던파 온 슬롯사 연구와 인쇄 출판문화에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