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토네이도 슬롯』은 1485년(성종 16) 인수대비(仁粹大妃, 1437~1504)의 명으로 조선 전기 승려 학조(學祖)가 편찬하였다. 당시 가장 많이 독송(讀誦)하고 신앙한 다섯 종류의 다토네이도 슬롯를 묶어범자(梵字)를 적고 한자와 한글 음을 함께 기록하였다.
토네이도 슬롯』은 「대비심대다라니(大悲心大陀羅尼)」, 「관세음보살여의주수진언(觀世音菩薩如意珠手眞言)」,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陀羅尼)」를 수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개심사 소장 목판은 「수구즉득다라니」 부분만 별도로 간행할 목적으로 판각한 토네이도 슬롯수구경(五大眞言隨求經)』이다.
토네이도 슬롯』 목판은 한 면에 2장씩 새겨 목판 하나에 총 4장씩 판각하였는데, 일부는 2장, 3장을 새긴 것도 있으며, 총 9판에 28장이 새겨져 있다. 광곽은 사주쌍변에 유계이며, 반엽은 6행에 13~15자로 일정하지 않다. 판심부의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에 흑구는 새기지 않았다. 「수구즉득다라니」만 판각하였지만 판심제는 “오대(五大)”를 새기고 그 아래 장차를 기록하였다.
말미에 새겨진 “만력삼십이년갑진십이월서산지가야산강당사개간(萬曆三十二年甲辰十二月瑞山地伽耶山講堂寺開刊)”의 기록으로 1604년(선조 37)[만력 32] 가야산 강당사에서 판각했음을 알 수 있다.
서산군 읍지 성격의 『 호산록(湖山錄)』에보원사(普願寺)가 강당사로 불린다는 기록이 있어 강당사는 보원사의 다른 이름인 것이 확인된다. 현재 서산 개심사에 소장되어 있다.
토네이도 슬롯』은 1485년 인수대비의 명으로 학조(學祖)에 의해 간행 · 유통된 이후, 1531년(중종 26)의 지리산 철굴본, 1534년(중종 29)의 묘향산 도솔암본, 1535년(중종 30)의 황해도 심원사본, 1550년(명종 5)의 풍기 철암본 등이 확인된다.
이 가운데 개심사 토네이도 슬롯』 목판은 「수구즉득다라니」 부분만 분리하여 토네이도 슬롯수구경』으로 간행한 것이 특징이다. 토네이도 슬롯』 목판은 조선시대 사찰 인쇄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불교학, 서지학, 국어학 등 학술 연구에 있어서도 그 가치가 크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