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넓게는 그에 유래하는 일단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범서(梵書)라고도 부른다.
인도의 전승에서는 범천(梵天, Brahman)에 관계시켜 말하고 있으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학자들은 서쪽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들에 그 기원을 찾고 있는데, 여러 설들 가운데 북(北)셈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기원설이 가장 유력하다.
브라흐미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이는 가로쓰기 방식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는 아랍어, 히브리어와 같은 셈계통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서법과는 대조적이다.
본질적으로는 음절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모음과 자음을 조합하는 방식 덕분에 음소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처럼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즉 a, e, i, o, u 등을 나타내는 소위 모음자들 외에 자음자들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ka, na, ta…… 등과 같이 모음 a를 포함하는 음절을 나타내게 되어 있지만, 거기에 다른 모음자를 연결시킴으로써 ki, ko, ku 또는 ni, no, nu 등 다른 종류의 음절을 나타내는 방법을 가지고 있고, 또 특별한 부호를 붙여 자음자에서 모음 a를 제외시켜 순수한 자음 k, n, t…… 등을 적을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는 기법을 가지고 있다.
범자의 여러 서체 가운데 우리에게 비교적 친숙한 것으로는 싯다마트리카(Siddhamāt○kā), 즉 이른바 실담자(悉曇字)와 데바나가리(Devanāgar○)보더 랜드 2 슬롯 머신가 있다.
실담자는 북방계의 굽타(Gupta)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로부터 나온 서체이며, 같은 북방계의 나가리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로 발달한 것이 데바나가리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이다. 데바나가리는 가장 널리 보급된 서체로서 현대의 힌디어 표기에도 이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가 쓰이고 있다.
범자는 아시아의 동북으로 뻗어 티베트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Tibet, 西藏文字)와 파스파(Paspa, 八思巴)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를 차례로 낳았다. 티베트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는 범자를 바탕으로 티베트어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파스파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는 원(元)나라 세조(世祖)가 승려 파스파(정확히는 ○P^ca_gs-pa)에게 명하여 티베트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를 바탕으로 새로 만들게 한 이른바 몽고신자(蒙古新字)인데, 이들에는 음절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적인 특징이 그대로 간직되어 있다.
범자를 포함한 이들 일련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체계는 고래로 우리나라에서 훈민정음 기원론의 대상으로 일부의 학자들이 지목하여 온 바 있다.
우리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생활사의 맥락에서 말한다면 진언집(眞言集) 등의 불교서적에 특히 다라니를 적는 데에 범자가 쓰인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불탑 등에 신앙의 상징으로서 석각되어 있는 예를 보는 등 불승들 사이에서의 범자 학습이 상당히 성했을 것을 알게 한다.
더 나아가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를 익힌 고승들은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를 우리말 표기에 이용하여 서찰 등에 썼다고도 전하나, 불행히도 그것을 증명할 실물이 보고된 것은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