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및 편자는 미상이다.
채색필사본이며, 절첩식 1첩 1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의 크기가 표지는 세로 31.0㎝, 가로 20.0㎝이다.
1면 길주목(吉州牧)은 세로 45.2㎝,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57.8㎝, 2면 명천부(明川府)는 세로 57.9㎝,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4.5㎝, 3면 경성부(鏡城府)는 세로 47.7㎝,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57.6㎝, 4면 부령부(富寧府)는 세로 45.5㎝,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38.8㎝, 5면 무산부(茂山府)는 세로 44.4㎝,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87.3㎝, 6면 회령부(會寧府)는 세로 49.3㎝,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3.7㎝, 7면 종성부(鍾城府)는 세로 63.0㎝,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8.5㎝, 8면 온성부(穩城府)는 세로 56.0㎝,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39.4㎝, 9면 경원부(慶源府)는 세로 55.2㎝,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4.9㎝, 10면 경흥부(慶興府)는 세로 54.4㎝,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50.2㎝, 11면 함관령(咸關嶺)은 세로 57.5㎝,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7.5㎝, 12면 마운령(磨雲嶺)은 세로 57.3㎝,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48.5㎝, 13면 마천령(磨天嶺)은 세로 53.0㎝,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56.0㎝이다.
『관북여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는 지리적 내용과 표현 방식 등으로 볼 때, 1738년(영조 14)∼1753년(영조 31)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관북지방 중 함경북도에 위치한 길주, 명천, 경성, 부령, 무산,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등 10개의 군현과 관북대로에 있는 군사적 요충지인 함관령, 마운령, 마천령 등 3개의 고개를 그린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이다.
산줄기는 연맥식으로 그렸으며,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였다. 도로는 적색으로 표시하였고, 산천 및 동리 지명이 자세히 기록되었다. 특히, 봉수(烽燧)를 잘 묘사하였는데, 봉수망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봉수 간의 거리를 수치로 제시하였다.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의 여백에는 한양, 순영(巡營)[감영], 북병영, 남병영으로부터의 거리, 1678년(숙종 4) 무오식(戊午式) 호구(戶口), 전부(田賦), 군병(軍兵), 봉수, 역참(驛站), 진보(鎭堡) 등이 기록되어 있다.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에는 화려한 채색의 사용, 산세를 표현한 준법(皴法), 하천에 표현된 물결 등은 도화서(圖畵署) 화원이 그린 것과 같이 회화적 수준이 높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관북여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는 1719년(숙종 45) 함경남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한 백일헌(白日軒) 이삼(李森, 1677∼1735)의 지시로 제작된 함경도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집의 계보를 잇고 있는데, 1712년(숙종 38) 조선과 청나라 정계(定界)를 전후로 함경도 지방 방어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잘 보여준다.
특히, 국내외에 현존하는 약 8점의 『관북여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와 비교해볼 때, 정밀도와 완성도가 높아 역사지리학적 ·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빼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0년 2월 2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