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조작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 )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에 있는 망주봉 일원에 지정된 명승.
지명/자연지명
면적
172,760㎡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군산 슬롯 조작도 망주봉 일원(群山 仙遊島 望主峰 一圓)
분류
자연유산/슬롯 조작/역사문화경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슬롯 조작(2018년 06월 04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슬롯 조작도1길 106-4 (옥도면)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조작습니다.
내용 요약

군산 슬롯 조작도 망주봉 일원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슬롯 조작도에 있는 망주봉 일원에 지정된 명승이다. 망주봉에서는 슬롯 조작팔경 중 망주폭포를 비롯하여 슬롯 조작낙조, 명사십리, 평사낙안, 삼도귀범, 무산십이봉 등 6경을 조망할 수 있다. 특히, 망주봉에서 바라본 슬롯 조작낙조는 서해 낙조의 으뜸으로 명승적 가치가 높으며, 군산정, 오룡묘, 숭산행궁, 자복사 등 송나라 사신을 영접했던 고려 유적이 남아 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에 있는 망주봉 일원에 지정된 명승.
명칭 유래

슬롯 조작도(仙遊島)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 앞바다에 슬롯 조작 고군산군도(古群山群島) 63개 섬 중에서 경치가 가장 아름다워 신선이 놀던 곳이라 하여 부르게 된 이름이며, 슬롯 조작봉(望主峰, 152m)은 이곳으로 유배를 온 선비가 바위산에 올라 한양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워한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자연 환경

슬롯 조작도의 명소는 슬롯 조작팔경(仙遊八景)이 대표적이다. 첫 번째는 슬롯 조작낙조(仙遊落照), 두 번째는 명사십리(明沙十里), 세 번째는 망주폭포(望主瀑布), 네 번째는 평사낙안(平沙落雁), 다섯 번째는 삼도귀범(三島歸帆), 여섯 번째는 장자어화(壯子漁火), 일곱 번째는 월영단풍(月影丹楓), 여덟 번째는 무산십이봉(舞山十二峰)이다.

망주봉은 암벽 봉우리 두 개가 마주보며 서 있는데, 이곳에서 슬롯 조작팔경 중 망주폭포를 비롯하여 슬롯 조작낙조, 명사십리, 평사낙안, 삼도귀범, 무산십이봉 등 6경을 조망할 수 있다. 특히, 망주봉에서 바라본 슬롯 조작낙조는 하늘과 바다가 모두 붉은색으로 변하여 서해 낙조 중 으뜸으로 명승적 가치가 높으며, 많은 비가 내리면 망주봉 정상에서 암벽을 타고 흐르는 폭포의 절경을 마주한 솔섬에서 바라볼 수 있다.

변천 및 현황

군산 슬롯 조작도 망주봉 일원의 국가유산 지정구역은 15만 2915㎡이고, 국가유산 보호구역은 1만 9845㎡이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왔던 주1이 편찬한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군산도(群山島)」에는 슬롯 조작봉에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이 송나라 사신을 영접했던 군산정(群山亭) 외에도 객관(客館), 오룡묘(五龍廟,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19호), 숭산행궁(崧山行宮), 자복사(資福寺) 등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018년 6월 4일 슬롯 조작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기타자료

「문화재청고시 제2018-63호, 「군산 슬롯 조작도 망주봉 일원」국가지정문화재(명승) 지정 및 지형도면 고시」(『관보』 제19269호, 2018. 6. 4)

웹페이지

군산시청(https://www.gunsan.go.kr)
디지털군산슬롯 조작대전(http://gunsan.grandculture.net)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중국 송나라 때의 문신(?~?). 고려 인종 1년(1123)에 고려에 사신으로 다녀간 후 ≪고려도경≫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나라에 알렸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조작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조작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