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만물초승경도」는 김규진이 1920년에 창덕궁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그린 부벽화이다. 2006년 등록문화재(현, 등록유산)로 지정되었다. 1917년 창덕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재건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그려졌다. 이 벽화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서쪽 벽면 위쪽에 금강산 만물상의 절경을 그린 것이다. 구름에 싸인 금강산의 단풍 든 가을 정경이 신비롭고 웅장하게 표현되었다. 「금강산만물초승경도」는 가로 길이가 880㎝나 되는 대작이다. 관념적인 수묵산수가 유행하던 당시에 이런 실경산수는 기념비적이다. 김규진은 이 그림 외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 동쪽 벽의 「총석정절경도」도 있다.
2006년 등록문화재(현, 등록유산)로 지정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95㎝, 가로 880㎝. 아리스 토크 랏 슬롯(金圭鎭)이창덕궁 아리스 토크 랏 슬롯(熙政堂)의 서쪽 벽면 위쪽(상인방에 해당함)에 그린 부벽화(비단과 종이에 그려 벽에 붙인 그림)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 만물상의 빼어난 절경을 그린 것이다. 황실의 집무실로 사용되었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내부에 벽화가 그려지게 것은 1917년 창덕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재건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재건할 때 경복궁의 강녕전(康寧殿)에서 부재들을 가져오는 어처구니 없는 만행이 저질러졌다.
1920년에 재건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옛 모습을 완전히 잃었고, 뒤편에 대조전과 경훈각이 이어지도록 복도를 설치함으로써 일본의 궁궐 건축 양식을 보여주었다. 창덕궁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외에 대조전(大造殿)에도 같은 시기에 서화미술회 출신의 신진 화가인 이용우(李用雨)와오일영(吳一英), 김은호(金殷鎬)가 각각「봉황도(鳳凰圖)」와「백학도(白鶴圖)」를 부벽화로 그렸다. 경훈각에는 역시 서화미술회 출신의 신진 아리스 토크 랏 슬롯였던 노수현과이상범이 각각「조일선관도(朝日仙觀圖)」와「삼선관파도(三仙觀波圖)」를 그려 창덕궁 벽화는 모두 총 6점이 제작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이 벽화를 장식하는 사업은 원래 일본인 아리스 토크 랏 슬롯들에게 맡겨질 뻔했지만 순종의 적극적인 반대로 한국 아리스 토크 랏 슬롯들에게 맡겨지게 되었다. 이 작업을 위해 대한제국 황실은 3,000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윤필료를 주고 당대 화단을 대표하는 서화연구회(書畵硏究會)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서화미술회(書畵美術會)의김응원에게 맡겼다. 이때 서화미술회는 미술교육을 담당했던 안중식, 조석진 등이 이미 작고한 뒤여서 그들의 제자들인 젊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이 벽화사업은 윤필료에 얽힌 추문이 나돌아 신문의 가십거리로 오르내리는 등 일반인들의 흥미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만물초승경도」는 가로 길이가 880㎝나 되는 대작으로 화가 김규진에게는 물론 한국근대회화사에서도 유례를 찾기 힘든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주로 관념적인 수묵산수가 유행하던 당시 화단에서 더욱이 주로 사군자류의 그림을 그렸던 김규진이 진채의 실경산수를 시도했던 것은 자신에게도 큰 도전이고 모험이었을 듯하다. 그림의 좌측 상단에 가로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만물초승경(金剛山萬物肖勝景)”이라 썼는데 「총석정절경도」에만 끝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 근사(金圭鎭 謹寫)”라고 쓴 것을 보면 두 폭을 한 쌍처럼 생각했던 것 같다.
6점의 벽화 중에서 김규진이 맡았던 아리스 토크 랏 슬롯 벽화가 가장 큰 규모였고, 혼자서 2폭을 모두 그렸기 때문에 그에게는 일생일대의 회심작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특혜가 주어진 것은 그가 서화연구회의 대표이자, 영친왕의 서예 선생이었다는 인연 때문이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금강산과 총석정을 소재로 그린 것은 순종의 명일 가능성이 크다. 이보다 한 해 전인 1919년 가을(10월 28일~12월 8일)에 김규진은 금강산을 다녀왔는데 「금강산만물초승경도」가 가을 장면인 것은 이때의 사생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1920년 초여름에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 벽화를 그리기 전에 다시 한번 금강산과 총석정을 다녀왔다. 이때의 사생을 바탕으로 단풍이 든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만물상 정경을 정치한 필치로 성실하게 그려냈고, 겹겹이 에워싼 구름이 화면의 웅장함을 더해준다. 가로로 긴 공간을 생각해서 실재 광경보다는 훨씬 장대한 파노라마식으로 나열하였고, 진채(眞彩)로 섬세하게 그려냈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국왕이 집무를 보는 편전(便殿)으로 중앙 대청의 동서 벽면의 상단 부분(보통 상인방이라 부름)에 이 부벽화를 설치했다. 전통적으로 이곳에는 그림을 장식하지 않았지만 변형되어 재건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는 벽화가 장식되었던 것이다. 순종은 자신의 집무 공간인 이곳에 민족의 영산이며, 정기를 보여주는 총석정과 금강산으로 장식되길 바랬던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