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중원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성종 때 시행된 10도(十道)의 하나로, 지금의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 강원특별자치도 · 경상북도 일부에 걸쳐 편성된 행정구역.
이칭
이칭
충원도(忠原道)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995년(성종 14)
폐지 시기
1106년(예종 1)
지역
지금의 충청북도 및 충청남도·강원도·경상북도 일부 지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중원도는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성종 때 시행된 10도(十道)의 하나로, 지금의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 강원도 · 경상북도 일부에 걸쳐 편성된 행정구역이다. 신라 9주(九州)의 하나인 삭주(朔州)를 토대로 하였지만 영역이 대폭 조정되었다. 관내에 42개 현(縣)을 두고 이를 13개의 주(州)로 편제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상주목(尙州牧)에 나누어 속하였다.

목차
정의
고려 성종 때 시행된 10도(十道)의 하나로, 지금의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 강원특별자치도 · 경상북도 일부에 걸쳐 편성된 행정구역.
위치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일부,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형성 및 변천

995년(성종 14)에 당(唐)나라의 10도(十道)를 본떠 편성한 도(道)의 하나이다. 『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에는 충원도(忠原道)라고 나온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中原)’은 본래 주1 중류의 남북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중국의 문화적 중심지를 상징하는 말이었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도는 당나라의 도명(道名)에는 채용되지 않았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중원도는 해당 권역의 중심지인 충주(忠州)의 옛 이름인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경(中原京) 내지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부(中原府)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경기도 동남부와 충청남도 동북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를 포함하며, 죽령 이남의 영주시 일대도 포함되었다. 죽령 이남의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지역이 남쪽의 상주(尙州) 방면이 아니라 북쪽의 원주(原州) 방면과 같은 도로 편성된 것은 신라의 9주(九州) 중에서 삭주(朔州)와 같은 양상이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역도(驛道) 중에서 평구도(平丘道)의 편성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10도대부분이 신라의9주를 토대로 일부 지역을 조정한 수준인 것과 달리 중원도는 삭주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영역의 변화가 많았다. 이는 신라의 삭주가 경주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편성된 것에 대해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에서는 개경을 중심으로 동서 방향으로 재편한 데 따른 결과이다.

관내에 42개 현(縣)을 두고 이를 13개 주(州)로 편제하였다. 소속 관원으로는 절도사(節度使)가 충주와 청주(淸州) 등 2곳, 도단련사(都團練使)가 환주(懁州[歡州]: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천안)와 강주(剛州: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영주) 등 2곳, 자사(刺史)가 제주(堤州: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제천)와 진주(鎭州: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진천) 등 2곳이 있었다.

이 밖에 소속 주(州)로는 괴주(槐州: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괴산) 등이 있었다. 1018년(현종 9)에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도는 대체로 충주목(忠州牧)과 청주목(淸州牧) 관할로 편성되었고, 죽령 이남 지역은 상주목(尙州牧) 관할이 되었다. 이후 1106년(예종 1)에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도는 관내도(關內道),하남도(河南道)와 더불어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로 개편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사(高麗史)』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하현강,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중세사연구』(일조각, 1988)

논문

윤경진,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초기 10도제의 시행과 운영체계」(『진단학보』 101, 진단학회, 2006)
홍연진,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전기 도제의 성립과 그 성격」(『역사와세계』 17, 효원사학회, 1993)
하현강,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지방제도의 일연구(상): 도제를중심으로」(『사학연구』 13, 한국사학회, 1962)
주석
주1

‘황허강’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우리말샘

집필자
윤경진(경상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