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강남도 ()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995년(성종 14)
폐지 시기
1018년(현종 9)
지역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대
• 본 항목의 내용은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는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다. 신라의 9주(州) 중에서 전주(全州)의 영역을 토대로 편성되었다. 관내에 43개 현(縣)을 두고 이를 9개의 주로 편제하였다. 1018년(현종 9),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전주목(全州牧) 관할이 되었다.

정의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위치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하며, 신라 구주(九州)의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인 전주(全州)를 토대로 일부 영역을 조정한 것이다.

형성 및 변천

995년(성종 14)에 당(唐)나라 태종 때의 지방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인 십도(十道)를 본떠 편성한 도의 하나이다. 당나라의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江南道)는 양쯔강 남쪽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며, 현재의 저장성[浙江省], 푸젠성[福建省], 장시성[江西省], 후난성[湖南省] 지역에 걸쳐 있다. 고려의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는 명칭을 차용한 것일 뿐이며, 지리적 조건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는 관내에 43현(縣)을 두었고, 이를 9개의 주(州)로 편제하였다. 여기에는 전주와 영주(瀛州), 순주(淳州), 마주(馬州) 등이 있었다. 영주는 지금의 전북 정읍시 고부면에 해당하는 지역이고, 순주는 전북 순창, 마주는 전북 익산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소속 관원으로는절도사(節度使)가 전주에 1곳,관찰사(觀察使)가 영주에 1곳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며, 순주와 마주에는 자사(刺史)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018년(현종 9) 지방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전주목(全州牧) 관할이 되었다.

의의 및 평가

기록에서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라는 명칭이 사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江南)’은 일반적으로 남부 지방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의 ‘강’은 보통 한강을 가리킨다.

1016년(현종 7)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에 주1이 들자 관내 창고의 곡식을 옮겨 주2한 기사가 있는데, 여기에 보이는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과 관내는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도와 관내도(關內道)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강 이남과 이북을 나누어 칭한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사(高麗史)』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일조각, 1988)

논문

윤경진,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초기 10도제의 시행과 운영체계」(『진단학보』 101, 진단학회, 2006)
홍연진,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전기 도제의 성립과 그 성격」(『역사와 세계』 17, 효원사학회, 1993)
하현강,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지방제도의 일연구(상): 도제를 중심으로」(『사학연구』 13, 한국사학회, 1962)
주석
주1

흉년으로 먹을 양식이 모자라 굶주림.   우리말샘

주2

흉년을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여 가난한 백성을 도와줌.   우리말샘

집필자
윤경진(경상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마카오 슬롯 머신 추천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