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육신사기첩 ()

조선시대사
문헌
18세기 말~19세기에 강원도 영월에 있는 육신사의 처마 밑에 걸려 있던 현판을 탁본하여 합철한 첩.
이칭
이칭
육신사기첩
문헌/고서
간행 시기
18세기 말
권책수
1책
판본
탁본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무료 슬롯 요약

『육사신기』는 18세기 말~19세기에 강원도 영월에 있는 무료 슬롯사(六臣祠)의 처마 밑에 걸려 있던 현판을 탁본하여 합철(合綴)한 첩(帖)이다. 양선생 임명시(兩先生臨命詩), 무료 슬롯사기(六臣祠記), 제무료 슬롯사기후(題六臣祠記後), 무료 슬롯사우기기(六臣祠宇記), 무료 슬롯보우상량문(六臣輔宇上粱文) 등 5점을 탁본하여 합철하였다.

정의
18세기 말~19세기에 강원도 영월에 있는 육신사의 처마 밑에 걸려 있던 현판을 탁본하여 합철한 첩.
서지 사항

서울대학교 규장각무료 슬롯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첩(帖) 형식으로 되어 있고 34절(折) 68면(面)이다. 크기는 29.7×18.4㎝이다. 본문은 모두 음각(陰刻) 소자(小字)이고 서체는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이 혼합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송시열·박태보 등이 쓴 기문(記文)과 발문(跋文) · 시(詩)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총 5점이고, 구체적인 무료 슬롯은 다음과 같다.

  1. 양선생 임명시성삼문이개가 죽음을 앞두고 쓴 시이다. 칠언절구 각 1수씩을 음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 판각은 박팽년의 후손인박기정이 영월부사로 있으면서 1791년(정조 15)에 창절사(彰節祠를 중건할 때 관찰사 윤사국에게 부탁하여 글씨를 쓴 것이다.

  2. 무료 슬롯사기 1685년(숙종 11) 송시열이 써서 주1하였던 것을 박기정이 개간(改刊), 게판한 것의 탁본이다.

  3. 제무료 슬롯사기후 송시열의 수제자인 권상하가 기록한 것으로 송시열이 기록한 「무료 슬롯사기」가 한 때 철거되었다가 임진원에 의해 다시 개모간행(改寫刊行)되고, 동시에 주2을 수습하여 원 자리에 걸게 된 전말을 적었다.

  4. 무료 슬롯사우기 당시 이천현감으로 있던 박태보가 적었는데, 구본(舊本)이 못 쓰게 되어 증손인 박화원(朴和源)이 다시 써서 걸게 된 것이다.

  5. 무료 슬롯보우상량문(六臣輔宇上粱文) 울진현령이었던 오도일이 기록한 것으로, 역시 글씨는 윤사국이 썼다.

의의 및 평가

이 자료는 숙종조(肅宗朝) 사무료 슬롯(死六臣)의 복권을 주도한 송시열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순천 박씨와의 깊은 인연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무료 슬롯인물사연구원, 『계유년의 역신들』(타오름, 2011)

논문

정만조,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무료 슬롯학논총』 33, 국민대학교 무료 슬롯학연구소, 2010)
주석
주1

시문(詩文)을 새겨 누각에 걸어 두는 나무 판.   우리말샘

주2

글씨를 쓸 때에, 종이 밑에 받치는 널조각.   우리말샘

관련 무료 슬롯 (2)
집필자
김혁(경희대 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무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무료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