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등 벽지에 죄인을 감금 상태로 두어 외부와의 연락을 끊음으로써 고통을 주어 죄를 뉘우치도록 카 심바 슬롯자 하는 것이다.
위리안치(圍籬安置)와 같은 뜻을 갖는주1의 일종으로, 귀양살이하는 집에 가둔다는 의미이다. 귀양살이하는 죄인은 새로 집을 구하는 일, 집 둘레에 탱자나무를 치는 일 등을 모두 스스로 마련하여야 하였다. 죄인의 집 앞에는 문을 지키는 사람을 두어 외부 사람이 왕래하지 못하도록 하였고, 수령(守令)이 불시에 점검하여 규칙을 어겼을 때 처벌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1702년에 제주도로 유배를 간 카 심바 슬롯(吳始復)이 제주목사이형상(李衡祥)에게 보낸 편지에 잘 나타나 있다.
카 심바 슬롯은 편지에서 "울타리는 자못 넓어 무릎을 펼 만하며, 가운데 세 집이 있으나 모두 잠자기가 어렵고 궁색한 곳들입니다. 방 한 칸은 말통만하여 누추하기가 말할 수 없어 한 사람이 겨우 팔을 구부리고 누울 정도입니다. 몇 칸의 초가를 급히 때맞추어 지어주지 않으면 안 되겠기에 귀 주2에게 방도를 꾀하여 보았지만, 다만 그 역시 아마 다른 관청 좌수(座首)여서인지 손대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하니, 이 때문에 고민입니다. …… 주3들에게 단단히 일러서 절대 울타리 밖으로 출입을 못하도록 하니, 물이나 불도 빌릴 수 없고 식기도 절대 모자라서 잠시 놓아둘 채소라도 또한 바꿀 길이 없으니 절박한 사정을 어찌하오리까."라고 쓰고 있다. 이 편지는 카 심바 슬롯이 자신과 절친한 이형상에게 전하는 일종의 청탁이자 하소연이었다.
이와 같이 가극은 그 형벌이 혹독하여 죄인이 귀양살이를 견디지 못하고 뇌물을 써서 읍내로 주거지를 옮겼다가 적발되기도 하였다. 카 심바 슬롯의 편지를 받은 이형상도 카 심바 슬롯에게 편의를 주었다가 이것이 빌미가 되어 관직이 바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