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상국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개념
고려시대 종2품 이상의 관원을 가리키던 재상의 또다른 칭호를 가리키는 관직 용어.
이칭
이칭
재추(宰樞), 상공(相公), 상신(相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국은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시대 종2품 이상의 관원을 가리키던 재상의 또다른 칭호이다. 중서문하성의 문하시중 및 제평장사, 그리고 참지정사 · 정당문학 · 지문하성사 등 다섯 개의 관직에 있는 8인과 중추원의 판원사 · 원사 · 지원사 · 동지원사 및 부사 · 첨서원사 · 직학사 등 일곱 개의 관직에 있는 9인을 가리킨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종2품 이상의 관원을 가리키던 재상의 또다른 칭호를 가리키는 관직 용어.
내용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相國)을 재추(宰樞) · 상공(相公) · 상신(相臣)이라고도 하였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문하시중(門下侍中)평장사(平章事), 그리고참지정사(參知政事)·정당문학(政堂文學)·주1 등 다섯 개의 관직에 있는 8인과 중추원(中樞院: 樞密院)의 판원사(判院事) · 원사(院使) · 지원사(知院事) · 동지원사(同知院事) 및 부사(副使)·첨서원사(簽書院事)·직학사(直學士) 등 일곱 개의 관직에 있는 9인을 가리킨다.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사』에 처음으로 나오는 ‘상국’은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태조 왕건이 신라를 방문할 때 마중 나왔던 경순왕의 당제(堂弟)인김유렴(金裕廉)을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라 표현한 것에서 비롯된다. 이후 김부식이나최충헌을 ‘상국’이라 표현하였고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말기에는 홍자번이나신돈을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라 표현한 예가 있다. 특히 무인정권기의 문집에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란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보면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라 표현된 인물들로 임유(任濡), 문공유(文公裕), 최유청(崔惟淸), 문극겸(文克謙), 최홍윤(崔洪胤), 금의(琴儀), 최보순(崔甫淳), 최우(崔瑀)등이 보인다.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에도이지저(李之氐), 한언국(韓彦國), 김영부(金永夫), 척준경(拓俊京), 김부의(金富儀), 이공승(李公升), 이광진(李光縉) 등이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라 표기되어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문집 『 동국이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집(東國李相國集)』에도 자신을 비롯하여 임유(任濡), 최선(崔詵), 최당(崔讜), 금의(琴儀),김인경(金仁鏡), 조충(趙沖), 유승단(俞升旦), 문극겸(文克謙) 등을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라 칭하였다.

특별히 추밀원의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을 ‘추밀안드로이드 슬롯 머신(樞密相國)’, 참지정사로서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이 된 사람을 ‘참정안드로이드 슬롯 머신(參政相國)’이라 부른 예도 있다. 이규보가 문집명에 ‘이안드로이드 슬롯 머신(李相國)’이라고 표기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주2· 지문하성사 ·주3 등의 관직을 지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원전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사(高麗史)』
『동국이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집(東國李相國集)』
『보한집(補閑集)』
『파한집(破閑集)』

단행본

이정훈,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전기 정치제도 연구』(혜안, 2007)
박재우,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신구문화사, 2005)

논문

변태섭,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재상고」(『안드로이드 슬롯 머신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주석
주1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문종 때 정하였으며 뒤에 지첨의부사로 고쳤다가 다시 지도첨의사, 지문하부사 등으로 고쳤다.

주2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시대에, 추밀원에 속한 정삼품 벼슬. 헌종 1년(1095)에 중추원 부사를 고친 것이다.

주3

안드로이드 슬롯 머신 시대에, 내사문하성에 둔 정이품 벼슬. 문종 15년(1061)에 내사시랑평장사를 이 이름으로 고쳐 정원과 품계를 정하였는데, 충렬왕 1년(1275)에 중서시랑평장사와 합쳐 첨의시랑찬성사로 고쳤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