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봉화(奉化). 첫 이름은 금극의(琴克儀), 자는 절지(節之). 삼한공신(三韓功臣) 금용식(琴容式)의 주1. 고향은 원래 경상도 봉화현(奉化縣)인데, 나중에 계양(桂陽)의 김포현(金浦縣)으로 본적을 바꾸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글짓기를 잘 하였으나 여러 번 과거에 낙방, 청도(淸道)의 감무로 나갔는데, 강직하여 굽히지 않으므로 백성들이 철태수(鐵太守)라고 하였다.
1184년(명종 14)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고 내시(內侍)에 보직되었다. 최충헌(崔忠獻)이 문사를 구할 때 이종규(李宗揆)의 추천으로 발탁되자 요직을 거치고, 신종(神宗) 때에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가 되었으며, 한때 장작감(將作監)으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나, 희종(熙宗) 때 지주사(知奏事) · 지이부사(知吏部事) 크레이지 슬롯 머신 지냈다.
1211년(강종 즉위년) 왕의 즉위에 대한 책명사의 접대에 공을 세우고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簽書樞密院事左散騎常侍翰林學士承旨)에 올랐다. 1215년(고종 2) 정당문학 수국사(政堂文學修國史),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守太尉中書侍郎平章事)가 되고, 1220년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으며,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크레이지 슬롯 머신(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여러 번 지공거가 되어 명사(名士)가 많이 나왔으니, 세상에서는 이르기를 ‘금학사옥순문생(琴學士玉筍門生)’이라 하였다. 문장에도 뛰어나 『한림별곡(翰林別曲)』에는 금학사(琴學士)로 되어 있다.
시호는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