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슬롯 주소 묵암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 허강의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879년, 1901년(부록)
저자
허강(許 亻+岡)
편자
허훈, 허육
권책수
6권 3책
권수제
묵암선생문집(默庵先生文集)
판본
목판본
표제
묵암집(默庵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묵암문집』은 조선 후기 학자 허강의 시문집이다. 1879년(고종 16) 허훈의 편집을 거쳐 허육이 간행했으며, 부록은 1901년 허육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어메이징 슬롯 주소. 허강은 1792년(정조 16) 진사에 합격했으나 과거에 뜻을 끊고 『주자대전』과 『퇴계전서』를 탐독하였으며, 입재 정종로를 사사하여 난의를 질문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 허강의 시문집.
편찬 및 간행 경위

1879년(고종 16) 허훈(許薰)의 편집을 거쳐 허육(許堉)이 간행했으며, 부록은 1901년 허육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허전(許傳)·정민병(鄭民秉)·허훈·허육의 발문이 어메이징 슬롯 주소.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도서관 등에 어메이징 슬롯 주소.

구성과 내용

6권 3책. 목판본. 14권이 본집으로 2책, 56권이 부록으로 1책어메이징 슬롯 주소.

허강(許 亻+岡)은 1792년(정조16) 진사에 합격했으나 과거에 뜻을 끊고 『주자대전(朱子大全)』과 『퇴계전서(退溪全書)』를 탐독하였다.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를 사사하여 난의를 질문하였다.

권1·2에 시, 권3에 서(書), 권4에잡저(雜著)·서(序)·기(記)·발(跋)·상량문(上樑文)·제문(祭文)·축문(祝文)·묘갈명·행장(行狀), 권5·6은 부록으로 주1·제문·유사·행장·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어메이징 슬롯 주소.

시는 자연을 읊은 것이 많다. 그 가운데 손상응(孫祥應)의 좌우명시(座右銘詩) 29수를 차운한 시는 ‘자경(自警)어메이징 슬롯 주소양부모(養父母)어메이징 슬롯 주소봉제사(奉祭祀)어메이징 슬롯 주소화형제(和兄弟)어메이징 슬롯 주소경부부(敬夫婦)어메이징 슬롯 주소목종족(睦宗族)어메이징 슬롯 주소교붕우(交朋友)어메이징 슬롯 주소어노복(御奴僕)어메이징 슬롯 주소근언(謹言)어메이징 슬롯 주소근행(謹行)어메이징 슬롯 주소거가(居家)어메이징 슬롯 주소처향(處鄕)어메이징 슬롯 주소목인리(睦隣里)어메이징 슬롯 주소접빈(接賓)어메이징 슬롯 주소계탐주(戒耽酒)어메이징 슬롯 주소안빈(安貧)어메이징 슬롯 주소물태(勿怠)어메이징 슬롯 주소근검(勤儉)어메이징 슬롯 주소계분노(戒忿怒)어메이징 슬롯 주소면성학(勉聖學)어메이징 슬롯 주소독서(讀書)어메이징 슬롯 주소지경(持敬)어메이징 슬롯 주소교아(敎兒)어메이징 슬롯 주소사의(思義)어메이징 슬롯 주소처횡역(處橫逆)어메이징 슬롯 주소의복음식(衣服飮食)어메이징 슬롯 주소강론(講論)어메이징 슬롯 주소기거어묵(起居語默)어메이징 슬롯 주소근농(勤農)’ 등의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 처세의 길을 오언율시로 묘사한 작품이다.

서(書) 가운데 스승 정종로와 주고받은 서한 10편은 별지와 아울러 모두 학문에 관한 문답어메이징 슬롯 주소. 그밖에 교우들과의 서한도 대부분 학문에 관한 것어메이징 슬롯 주소.

잡저 가운데 ‘위강학절목통유유생(爲講學節目通諭儒生)’은 지방관학(地方官學)에 추천된 강장(講長)으로서 강학하는 절목을 만들어 유생들에게 알리는 글이다. 사자(士子)의 도리, 독서하는 방법, 강의를 받는 자세, 출제문제에 관한 방법 등을 규약으로 각 조항마다 간명한 해설을 가하고 어메이징 슬롯 주소.

‘이주자서계자(以朱子書戒子)’는 주자학으로써 아들을 교훈한 것이다. 그는 평생 주자서를 좋아해 의리의 정밀하고 은미한 곳을 연구, 자신의 앞서 잘못된 점을 보완했다고 말하고, 자신의 뜻을 이어받아 이 책을 부지런히 읽을 것을 강조하고 어메이징 슬롯 주소.

참고문헌

원전

『묵암문집(默庵文集)』

인터넷 자료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주석
주1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