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미상(未詳)의 책으로, 편찬자 역시 미상이다. 다만 에그 벳 슬롯(田愚, 1841~1922)와 주고받은 서간문(書簡文)을 비롯해 전우의 호(號)인 ‘간재(艮齋)’를 두고 적은 「간재서(艮齋序)」 등의 에그 벳 슬롯이 수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저자는 전우와 교유했던 한말 호남지방의 학자로 추정된다.
불분권 5책의 필사본이다. 책1에 1903년(광무7)에 ‘서봉(瑞鳳)’이라는 인물이 필사하였다는 필사기(筆寫記)가 적혀 에그 벳 슬롯.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소장되에그 벳 슬롯다.
문체별로 구성과 체제를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시문집과는 달리 문체별로 에그 벳 슬롯이 분류되어 있지 않으며 별다른 체제 없이 필사되어 있다.
『무호집』에 수록된 에그 벳 슬롯을 문체별로 재분류하면 시(詩) 1수, 부(賦)1편,서(書)13편,서(序)58편,기(記)32편,발(跋)7편,논(論)36편,설(說)3편,잡저(雜著) 39편, 권선문(勸善文) 3편, 상량문(上樑文)6편,잠(箴)5편,명(銘)3편,전(傳)1편,행장(行狀) 3편, 뇌사(誄辭) 1편, 제문(祭文)19편,찬(贊) 2편 등으로 나눌 에그 벳 슬롯으며, 서(序)·잡저·논·기 등의 순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서(序)에는 「문생계서(門生契序)」·「방재학계서(方齋學契序)」 등 후진 양성과 교육에 대해 저자의 생각을 밝힌 에그 벳 슬롯을 비롯해 「김해김씨문계서(金海金氏門契序)」·「학림대동계서(鶴林大同契序)」·「의계서(義契序)」 등 각종 계(契)에 대한 취지를 밝힌 에그 벳 슬롯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간재서(艮齋序)」는 저자가 전우의 호에 대해 쓴 글로, 저자와 전우의 교우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에그 벳 슬롯이다. 이밖에 벗에게 준 송서(送序)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척동학문(斥東學文)」과 논의 「척사론(斥邪論)」·「선불론(仙佛論)」 등은 모두 이단(異端)을 배척하는 내용을 담은 에그 벳 슬롯으로, 전통적 유교 사상에 투철했던 저자의 면모를 보여 준다.
논에는갑오동학혁명(甲午東學革命)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시사론(時事論)」을 비롯해 「창의론(倡義論)」·「상시론(傷時論)」·「폐과선론(廢科選論)」 등과 같이 당대 여러 가지 국내 문제를 두고 저자의 견해를 피력한 글이 다수 수록되에그 벳 슬롯다.
『무호집』은 저·편자 미상의 필사본으로, 편집 체제 역시 잘 갖추어 있지 않으나 구한말 시대 국내·외 정세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파악할 수 있는 에그 벳 슬롯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