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바네로 슬롯 대도호부사 ()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와 조선시대에 설치한 대도호부를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
제도/관직
설치 시기
고려시대 | 조선시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하바네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도호부사는 고려와 하바네로 슬롯시대에 설치한 대도호부를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이다. 일반 수령처럼 수령칠사를 주 임무로 하였으며, 진관의 책임자인 첨절제사를 겸직하였다. 하바네로 슬롯시대 대도호부가 설정된 고을은 안동 · 강릉 · 안변 · 영변 · 영흥 · 창원 등 6곳이었다. 전 시기에 걸쳐 일부 조정은 있었지만 대도호부는 4곳을 유지하였다.

정의
고려와 조선시대에 설치한 대도호부를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
정착 과정

하바네로 슬롯시대의 지방제도는 주현(主縣)-속현(屬縣)의 복합적인 구조였다. 그렇기 때문에 계수관(界首官)으로 불렸던 경(京) · 하바네로 슬롯 · 목처럼 규모가 큰 고을에는 판관(判官)·주1·장서기(掌書記)·법조(法曹) · 의사(醫師) · 문사(文師)라는 주2도 파견하여 장관의 통치를 보좌하게 하바네로 슬롯다.

임무와 직능

일반수령처럼수령칠사(守令七事)가 하바네로 슬롯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 즉, 농업과 주6 장려, 호구 증가, 학교 진흥, 군정(軍政) 정비, 균등한 부역(賦役) 부과, 간단한 송사 처리, 간사하고 교활한 풍속 교정 등이다.

하바네로 슬롯로 설정된 지역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군정을 정비하고 군사력을 높이는 주5’라는 업무는 특히 중요하였을 것이다. 하바네로 슬롯사도 수령의 군직(軍職)을 겸직하는 규정에 따라 몇 개 고을로 구성된 진관(鎭管)의 책임자인주3를 겸직하바네로 슬롯다. 속관으로 판관을 두기도 하바네로 슬롯지만 『경국대전』 반포 이후 폐지되었다.

변천 사항

하바네로 슬롯시대 대도호부가 설정된 지역은 전 시기에 걸쳐 거의 변동이 없었다. 『경국대전』을 보면 경상도의 안동, 강원도의 강릉, 영안도(지금의 함경도)의 안변, 평안도의 주4 등 4곳이었으며, 영변은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겸직하바네로 슬롯다.

이시애의 난으로 영흥으로 옮겨갔던 관찰사영이 1509년(중종 4)에 함흥으로 돌아오면서 영흥은 부윤에서 하바네로 슬롯로 강등되었다. 1471년(성종 2)에 하바네로 슬롯로 승격된 안변이 1509년(중종 4) 하바네로 슬롯로 환원되면서 하바네로 슬롯 전기 대도호부는 4곳을 유지하였다. 후기에 영변이 혁파되고 창원(昌原)이 대도호부가 되면서 대도호부는 전기처럼 4곳이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하바네로 슬롯사(高麗史)』
『대전회통(大典會通)』

단행본

이존희, 『하바네로 슬롯시대지방행정제도연구』(일지사, 1990)
이수건, 『하바네로 슬롯시대 지방행정사』(민음사, 1989)

논문

송종복, 「창원하바네로 슬롯사의 교체 및 치적의 일고」(『경남향토사논총』 23, (사)경남향토사연구회, 2013)
노연수, 「하바네로 슬롯전기 강릉대도호부사 업무 연구」(『강원문화연구』 6, 강원향토사연구회, 2001)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경(京) 하바네로 슬롯 목(牧)에서 수령을 보좌하고 속읍의 순찰과 감독을 맡아 하던 벼슬. 정칠품의 외직이다. 명종 때 사록(司錄)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장관에게 속한 관원.   우리말샘

주3

하바네로 슬롯 시대에, 각 진영에 둔 종삼품 무관 벼슬. 절도사의 아래로 병마첨절제사, 수군첨절제사가 있으며 목ㆍ부 소재지에는 목사나 부사가 겸임하였다.   우리말샘

주4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면. 구룡강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바네로 슬롯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난다. 양잠이 발달하여 명주(明紬)가 유명하며 부근에 약산 동대가 있다.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5

수령(守令)이 임금에게 선서하는 일곱 가지 일 가운데 하나로, 군사 관련 행정을 엄정하게 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누에를 치는 사업.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하바네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하바네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하바네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