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m 2 슬롯는 원래 중국에서 외지를 다스리기 위해 두었던 관서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都督府)를 두고, 이를 모두 거느려 다스리기 위해 평양에 안동대m 2 슬롯를 설치한 바 있다.
고려 · 조선 시대 지방 행정 기구의 하나로 군사적인 요충지에 설치되었으나 점차 일반 행정 기구로 그 성격이 바뀌어갔다. m 2 슬롯(都護府)는 대m 2 슬롯와 m 2 슬롯의 2가지가 있는데, 고려시대의 대m 2 슬롯 운영은 시기나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었다.
918년(태조 1)에 평양 대m 2 슬롯(平壤大都護府)를 둔 적이 있지만, 평양이 서경(西京)으로 승격되면서 없어졌다.
안북대m 2 슬롯(安北大都護府)는 983년(성종 2)에 12 목(牧)의 설치와 함께 지방 제도가 정비되면서 북계(北界) 지역의 영주(寧州)에 신설되었다. 이 명칭은 1018년(현종 9)에도 이어졌다.
안남대m 2 슬롯(安南大都護府)는 1018년(현종 9)에는 전주(全州)에 설치되었다. 이후 전주는 1022년(현종 13)에 안남대m 2 슬롯에서 전주목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해주에는 1018년(현종 9)에 해주안서m 2 슬롯(海州安西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1122년(예종 17)에 안서 대m 2 슬롯로 승격되었다. 1247년(고종 34)에 다시 해주목으로 변경되었다.
안동대m 2 슬롯(安東大都護府)의 경우,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장소의 변화가 잦았다. 1012년(현종 3)에 상주에 절도사(節度使)가 폐지되면서 상주를 안동대m 2 슬롯로 바꾸었다. 이후 1014년(현종 5)에 경주를 안동대m 2 슬롯로 삼았다가 1030년(현종 21)에 경주를 동경 유수(留守)로 바꾸었다. 1204년(신종 7)에 안동을 안동대m 2 슬롯로 삼았다. 안동은 이후 1308년(충렬왕 34)에 복주목으로 변경된 뒤 1361년(공민왕 10)에 다시 안동대m 2 슬롯로 변경되었다.
고려 문종 대에관제(官制)를 개정할 때, 대m 2 슬롯의 관원으로 사(使)·부사(副使)·판관(判官)·사록겸장서기(司錄兼掌書記) ·법조(法曹)· 의사 ·문사(文師) 각 1인씩을 두었다. 그러다가 1116년(예종 11) 판관을 통판(通判)으로 고친 뒤 관원으로 사, 판관, 사록만 두게 되었다.
조선의 대m 2 슬롯 운영도 시기와 지역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건국 초부터 안동, 강릉, 진양 등에 대m 2 슬롯를 두었다. 1392년(태조 1)에 현비(顯妃) 강씨(康氏)의 주2인 진양을 진양대m 2 슬롯(晉陽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이후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하고 세조 때 진(鎭)을 두었다.
안변대m 2 슬롯(安邊大都護府)는 1402년(태종 2)에 조사의(趙思義)의 난으로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이후 다시 안변대m 2 슬롯로 복구되었다.
1426년(세종 8)에 태조가 태어난 화주(和州)를 높여 영흥대m 2 슬롯(永興大都護府)로 삼았다가 이후 1456년(세조 2)에 진으로 변경하였다.
1428년(세종 10)에 평안도 연산부(延山府)와 무산현(撫山縣)을 합병하여 영변대m 2 슬롯(寧邊大都護府)를 설치하였다. 이후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안동, 강릉, 안변, 영변 4곳에 대m 2 슬롯를 규정하였다.
이후 조선 후기에 대m 2 슬롯는 큰 변화를 겪었다. 창원이 대m 2 슬롯로 승격되었고, 영흥이 부윤에서 대m 2 슬롯로 강등되었으며, 안변은 대m 2 슬롯에서 m 2 슬롯로 강등되었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는 안동, 강릉, 영흥, 영변, 창원 5개 대m 2 슬롯가 마련되었다.
대m 2 슬롯 수령인대m 2 슬롯사는 정3품으로부윤·목사와 함께 주로 문신이 임명되는 주3직(淸宦職)이었다.
『경국대전』에 대m 2 슬롯는 서원(書員)30인,일수(日守) 40인, 외노비(外奴婢) 450명, 향교 노비 25명, 관둔전(官屯田) 20 결(結), 아록전(衙祿田)50결,공수전(公須田) 15결이 배정되었다. 대m 2 슬롯사의 부관(副官)으로 판관을 두었으나 1894년(고종 31) 지방 제도 개혁 때 모두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