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림 m 2 슬롯 유적은 중국 길림성 길림시 m 2 슬롯촌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이다. 1941년부터 1953년까지 5차례에 걸쳐 모두 28기의 돌널무덤이 발굴조사되었다. m 2 슬롯 북쪽의 평정산 남쪽 기슭을 따라 동서로 길게 분포하고 있다. 평정산 동쪽 정상부에는 대형 돌널무덤이 따로 위치하고 있는데 돌널과 뚜껑돌의 길이가 2m가 넘는다. 이 유적의 돌널무덤들은 모두 괴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토기, 각종 석기가 있으며, 가락바퀴, 돼지뼈 등도 확인되었다. 무덤의 조성 시기는 대체로 서기전 7세기 정도로 추정된다.
m 2 슬롯유적은 1941년 동주신(佟柱臣)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당시 2기의 무덤이 조사되었다. 1948년 9월에는 오풍(吳楓)에 의해 1기의 무덤이 조사되었으며, 1949년 7월 왕아주(王亞洲)는 20기의 돌널m 2 슬롯〔石棺墓〕을 구제 발굴하였다. 1950년에는 동북고고발굴단(東北考古發掘團)에서 1기의 돌널무덤을 발굴조사하였으며, 1953년에는 왕아주와 동학증(董學增) 등이 4기의 돌널무덤을 다시 발굴조사하였다. 1941년부터 1953년까지 5차례에 걸쳐 모두 28기의 돌널무덤이 발굴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알려진 m 2 슬롯유적의 내용은 대부분 1949년과 1953년의 발굴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것이다. 이밖에도 1983년 5월 길림성박물관과 길림시박물관, 길림대학교에서 이 유적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였다.
m 2 슬롯촌은 길림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10㎞ 정도 떨어져 있으며, m 2 슬롯유적은 m 2 슬롯 북쪽의 평정산(平頂山) 남쪽 기슭을 따라 동서로 길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평정산 동쪽의 남사면에 해당하는 대립자(大砬子) 아래로 무덤이 집중되어 있다. 평정산 동쪽의 정상부에는 대형 돌널무덤이 따로 위치하고 있다. 이 돌널무덤의 m 2 슬롯 크기는 길이 2.5m, 너비 1.5m, 높이 1.5m이며, 그 위에 덮여 있는 뚜껑돌〔蓋石〕은 길이 2.7m, 너비 2.33m, 두께 0.45m이다.
이 m 2 슬롯의 돌널무덤은 모두 괴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그리고 일부 딸린널〔副棺〕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딸린널을 따로 조성하였다. 무덤의 규모는 대체로 길이 1.64∼2.2m, 너비 37∼65㎝, 높이 31∼65㎝이다. 이 가운데 1949년에 조사된 무덤 중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는 M4호를 통해 무덤의 구체적인 상황을 살펴보면, M4호의 돌널은 약 20° 경사의 산비탈에 위치해 있으며 머리쪽은 지표 아래 140㎝, 발쪽은 지표 아래 85㎝ 쯤에 놓여 있다. 무덤 방향은 서쪽으로 약 20° 기울어진 남향이며, 머리방향〔頭向〕은 동북쪽이다. 돌널은 비교적 큰 청석(靑石)을 사용하여 축조하였으며, 뚜껑돌과 네 벽석, 바닥석, 딸린널로 구성되었다. 뚜껑돌은 3장의 대형 판석으로 덮었는데, 전체 길이는 275㎝, 너비는 103㎝, 두께는 약 26㎝이다. 돌널의 네 벽은 남북 양단에 각각 판석으로 2∼3단씩 쌓아올렸으며, 판석은 암벽 위에 직접 세웠다. 돌널의 내부 길이는 190㎝이며, 북단 너비는 65㎝, 남단 너비는 57㎝, 높이는 50∼60㎝이다. 딸린널은 돌널의 끝에 붙여서 3장의 청석으로 만들었다. 뚜껑돌은 별도로 만들지 않고 돌널의 뚜껑돌로 대신하였다. 딸린널의 크기는 너비 62㎝, 길이 35㎝, 높이 38㎝이다.
m 2 슬롯의 장식(葬式)은 머리를 약간 옆으로 뉘었고, 상체는 하늘을 향해 바로 눕히고〔正向仰臥〕, 양팔은 가슴부위에서 교차되었다. 다리〔下肢〕는 오른쪽 다리가 약간 구부러져 있었다. 대체적으로 머리만 옆으로 뉘이고 곧게 펴 묻었다〔側首仰身葬〕.
m 2 슬롯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서단산형의 단지와 바리〔鉢〕등의토기, 연주식 청동장식〔聯珠狀銅飾〕등의 청동기, 옥도끼,돌도끼, 돌칼, 돌화살촉, 돌자귀 등의 각종 석기가 있m 2 슬롯,가락바퀴, 돼지뼈 등도 확인되었다. 평정산 정상부의 대형 돌널m 2 슬롯에서는 부채도끼〔扇形銅斧〕, 청동손칼, 청동단추장식, 청동화살촉, 가락바퀴, 백석대롱, 항아리등이 출토되m 2 슬롯.
m 2 슬롯유적의 조성 시기에 대해서는 서기전 8세기부터 서기전 6세기까지로 편년되고 있다. 이 유적에서 확인된 공반유물이 영길(永吉) 성성초(星星哨)유적보다는 시기가 늦고, 전국시기 연(燕)나라 계통의 유물이 출토된 길림 장사산(長蛇山)유적, 후석산(猴石山)유적보다는 이른 특징이 나타나고 있어서, 대체로 서기전 7세기 정도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