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관(石棺)’이라고도 한다. 카 심바 슬롯은 널을 다시 둘러싸서 보호하는 돌덧널〔石槨〕과는 원래 기능상 다른 것이지만, 카 심바 슬롯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돌덧널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카 심바 슬롯의 시원적인 형태는 조합식 카 심바 슬롯이다. 이는 쪼개지기 쉬운 돌을 판자모양으로 만들어 다시 상자모양으로 조합한 것이다. 조합식 카 심바 슬롯에서 발전해 나온 것이 구유식〔槽拔式〕 카 심바 슬롯인데, 이는 돌을 깊게 도려내듯이 파내어서 널의 몸체와 뚜껑을 만든 것이다. 구유식 카 심바 슬롯은 한반도에서는 매우 드물게 만들어졌으나 세계적으로 볼 때는 역사시대 이후 매우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카 심바 슬롯의 설치는 직접 땅 속에 묻는 것, 지하 석곽 또는 석실에 넣는 것, 사원이나 묘소의 실내에 안치하는 것 등이 있다. 석재가 유해 보존에 매우 효과적인 재료이므로, 카 심바 슬롯은 선사시대 이래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있다.
카 심바 슬롯은 시베리아의 예니세이강 상류에서 이미 청동기시대의 초기인 안드로노보기(Andronovo期, 서기전 1700∼서기전 1200)에 발생해서 카라수크기(Karasuk期, 서기전 1200∼서기전 700), 타가르기(Tagar期, 서기전 700∼서기전 200)에 걸쳐서 만들어졌다. 여기서는 대개 뚜껑과 벽을 각각 1장의 판석으로 만들었다. 만주지역에서는 청동기와 석기가 같이 출토되는 카 심바 슬롯무덤들이 분포한다. 이것들은 벽과 뚜껑을 각각 몇 장의 판석으로 구성하였다. 서양에서도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로마시대에 화강암 또는 대리석으로 만든 구유식 카 심바 슬롯이 성행하여 측면을 부조로 장식하는 수법이 매우 발달하였다. 한반도의 카 심바 슬롯무덤은 청동기시대부터 등장하는데, 시베리아∼만주지역의 것과 계통적으로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청동기시대에 카 심바 슬롯무덤에 이용된 카 심바 슬롯 중 뚜껑과 벽을 각각 1장의 얇은 판석으로 만든 것은 강계·강서·사리원·봉산·양구·단양 등지의 주로 황해도 이북의 서북한지역에 분포한다. 뚜껑과 벽을 각각 몇 장의 판석으로 만든 것은 주로 한강 이남 지역에 집중해 나타난다. 분포권은 한반도와 만주에 두루 걸쳐 있다. 이 외에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의 경우같이 돌무지무덤〔積石塚)의 하부구조로서 소형 카 심바 슬롯을 사용한 경우가 있다. 또 남부지방에서는 카 심바 슬롯이 고인돌〔支石墓〕의 지하구조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카 심바 슬롯의 전통은 삼국시대로 이어졌다. 부여 가증리에서 발견된 5기와 김해 회현동패총에서 발견된 5기 등이 그 예이다. 또 고성 송천리고분군과 같은 판석돌덧널무덤〔板石石槨墓〕은 돌덧널무덤〔石槨墓〕이면서도 사실상 카 심바 슬롯무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삼국시대 이후에는 카 심바 슬롯무덤보다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石室墳〕이 성하게 되었다.
돌덧널무덤은 낮은 구릉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돌덧널 안에 나무로 짠 널을 넣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돌덧널무덤유적으로는 화성 마하리, 천안 용원리고분군이 있다. 돌방무덤은 판돌이나 깬돌을 활용해 널을 안치할 수 있는 방을 만든 무덤이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공주 송산리고분군, 충주 누암리고분군을 들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석실분 내에 구유식 카 심바 슬롯을 안치한 경우도 있지만 이는 극히 예외에 속하며, 대부분 나무널〔木棺〕이 이용되었다. 7세기 중엽 이후에는 불교식 화장이 유행되기 시작하면서 골호(骨壺)를 안치하는 데 석함(石函)이나 석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시대에 들어서면 화장묘로서의 석관장(石棺葬)이 상류층에 많이 보급되었다. 이 경우의 카 심바 슬롯은 점판암 등으로 90×40×40㎝ 정도의 크기로 만들었다. 단벽석(短壁石)에는 구멍을 뚫어 장벽석(長壁石)에 맞물리게 하고, 바닥에는 홈을 파 벽석이 물리게 해서 단단하게 만들었다. 카 심바 슬롯의 외면에는 4신(神)·12지신상(十二支神像) 등을 조각하였으며, 널의 내벽면 또는 뚜껑의 내면에는 묘지(墓誌)를 새기기도 하였다. 내부에는 화장한 유골을 골호나 목궤에 넣어 안치하였다.
또 고려시대의 돌덧널무덤 중에는 강화군 외포리의 것같이 카 심바 슬롯무덤의 형태를 띤 것들이 있다. 카 심바 슬롯은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도 존속하고 있으며, 나무널과 함께 대표적인 널로 이용되어 왔다.
한반도의 카 심바 슬롯은 이미 청동기시대에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일본에서는 특히 고분시대(3∼7세기)부터 구유식 카 심바 슬롯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할죽형(割竹形)·배형〔船形〕·함형〔長持形〕·집형〔家形〕·횡구식형(橫口式形) 등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