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언어 슬롯 머신 서재필 진료가운 ( gown)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서재필 박사가 의사 시절에 착용한 진료가운.
의복
재질
제작 시기
1951년 이전
소장처
독립기념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徐載弼 診療가운)
분류
등록c 언어 슬롯 머신유산/기타/동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등록c 언어 슬롯 머신유산(2014년 10월 29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은 c 언어 슬롯 머신 박사가 의사 시절 착용한 진료가운이다. c 언어 슬롯 머신은 갑신정변의 주역이자 독립신문 창간자로서 유명하다. 진료가운의 소재는 캔버스 조직으로 된 면직물이다. 진료가운의 안쪽에는 c 언어 슬롯 머신의 영문 이름인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의 가운데 ‘S’가 들어간 ‘Dr. P. S. J.’의 머리글자[initial]와 진료가운을 제작한 미국 필라델피아의 ‘C. D. Williams & Co.’의 상호 및 주소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정의
서재필 박사가 의사 시절에 착용한 진료가운.
연원

c 언어 슬롯 머신(徐載弼, 1864~1951) 박사 가족이 독립기념관에 기증c 언어 슬롯 머신다. 제작 시기는 1892년(고종 29)1898년(광무 2) 또는 19261939년 사이로 추정된다.

형태 및 용도

총 길이 121㎝, 등 길이 41㎝, 앞품 53㎝, 소매 길이 62.5㎝, 뒤허리 벨트 폭 5.5㎝, 뒤트임 길이 45㎝이다. 소재는 경사 2올을 합사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흰색 면직물(綿織物)이다.

길이가 긴 진료c 언어 슬롯 머신 형태로 테일러드 칼라(tailored collar)가 달려 있으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약간 넓어지는 텐트 스타일(Tent Style)이다. 왼쪽 가슴 윗부분에 주머니 1개, 허리 좌우에 각 1개씩 주머니가 달려 있다.

앞중심을 단추 5개로 여미도록 되어 있고 단추는 구멍에 끼우도록 제작되어 있는데 현재 단추는 없다. 길 좌우에 손을 넣을 수 있는 트임[길이 45㎝]이 있다.

옆선과 어깨선이 뒤로 넘어가 있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의 구성법으로 제작되었다. 소매는 어깨에서 소맷부리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두 장 소매(two-piece sleeve)로 구성되어 있다. 소맷부리에 트임이 있으며, 단추로 여미게 되어 있으나 현재 단추는 없다. 앞 중심과 소매의 단추 구멍은 버튼홀 스티치(buttonhole stitch)로 마감c 언어 슬롯 머신다.

뒤 허리 중심에 별도로 재단한 너비 5.5㎝의 밴드형 벨트가 있으며, 좌우 벨트는 단추로 고정c 언어 슬롯 머신다. 뒷면은 프린세스 라인(princess line)처럼 양쪽으로 봉재선이 있다.

오른쪽 앞자락 안쪽에 필라델피아의 c 언어 슬롯 머신 제작처 주소와 함께 38 Dr. J.P.S.가 새겨진 천이 따로 부착되어 있다.

현대의 진료c 언어 슬롯 머신과 다르게 칼라의 폭이 좁고 앞여밈의 첫 번째 단추가 상당히 위에 달려 있다.

홑옷으로 어깨와 겨드랑이에 주1가 있다. Z꼬임의 약 0.33㎜ 두께의 면사를 사용하여 재봉틀로 바느질c 언어 슬롯 머신다. 바늘땀은 약 1.7~1.9㎜ 간격이다.

보존 처리 전 착용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고, 빳빳하게 풀을 먹였다. 주머니의 안쪽과 해진 부분 등이 붙어 있는 것이 확인되어 풀을 먹인 이후로 c 언어 슬롯 머신을 착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보존 상태는 전체적으로 구김, 황색 얼룩, 반점이 확인되며 특히 보관 상자의 크기에 맞게 유물을 사각형으로 접어 보관하면서 발생한 구김과 변색이 심한 편이다. 좌측 아래 3㎝ 정도 구멍 주변과 좌측 앞길 · 주머니 · 소매 뒤쪽에 잉크가 묻은 흔적이 있으며, 칼라 안쪽에는 흑색 볼펜으로 쓴 ‘JOE’라는 글씨가 있다. 앞길 우측 안쪽에는 ‘Dr. P. S. J.’의 영문 머리글자[initial] 라벨과 진료c 언어 슬롯 머신을 제작한 미국 필라델피아 ‘C.D. Williams & Co.’의 상호 및 주소가 표기된 라벨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C.D. Williams & Co.’와 ‘Dr. Philip Jaisohn’ 사이에는 ‘38’이라는 숫자도 확인되는데 이것은 기성복(旣成服) 치수 규격으로 보인다. 모두 7개의 라벨로, 상호 다음에 오는 치수와 이름을 한 글자씩 오려 붙여 재봉틀로 한 번에 바느질하였다.

변천 및 현황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은 오염된 곳과 손상된 곳이 있었고, 풀을 먹여 접어 보관하면서 변색과 함께 굵은 주름이 발생하였다. 2018년 4월부터 1년여 동안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에서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에 대한 유물 조사와 세척 및 형태 보정 등의 보존 처리를 하였고, c 언어 슬롯 머신 박사에 대한 중요 기록이 세척 과정 중에 지워지거나 번지지 않도록 안정화 처리를 하였다.

의의 및 평가

갑신정변(甲申政變)주역,『독립신문』 창간자, 독립운동가였던 c 언어 슬롯 머신이 의사로서 미국에서 활동할 때 착용하였던 진료가운이다. 한국에서 제작한 진료가운은 아니지만 미국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자 동시에 의사였던 c 언어 슬롯 머신의 모습을 입증해 주는 유물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2014년도 등록c 언어 슬롯 머신재 등록조사보고서』(c 언어 슬롯 머신재청, 2015)

논문

이량미·안보연·전은진, 「국가등록문화재 제607호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 보존처리와 유물 충전재 개발」(『한국의류학회지』 45-3, 한국의류학회, 2021)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www.khs.c 언어 슬롯 머신kr)

기타 자료

‘3.1운동 100주년, 보존처리로 되살아난 독립운동가의 복식: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등록문화재 c 언어 슬롯 머신 진료가운과 유림 양복 보존처리 완료’(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02.28.)
주석
주1

홑적삼이나 고의 따위의 잘 해지는 곳에 안으로 덧대는 헝겊 조각.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c 언어 슬롯 머신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c 언어 슬롯 머신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