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458구.
범패(梵唄) 슬롯의 전승자였던 이경협(李璟協, 1901~?)이 구술한 작품이다. 『화청(和請)』(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65호, 1969)에 국한문 혼용표기로 실려 있다.
인간사가 허망하여 죽음을 피할 수 없으므로 평소에 선심(善心)하고 염불하여 극락에 왕생할 것을 권장한 불교가사이다.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상 크게 3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부모의 은혜─인생무상과 저승길의 심판─염불과 극락왕생의 순으로 전개된다. 제1단락(1∼114구)은 아버님 전 뼈를 빌고 어머님 전 살을 빌어 10삭 만에 태어나는 과정에서부터 부모님 은혜를 나열하며 마침내는 “태산이 높다 한들 부모은혜 같사오며 하해가 깊다 한들 부모은혜 같으리오.”로 마무리하였다. 이는 『부모은중경』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기초하여 가사화한 것이다. 제2단락(115∼430구)은 생로병사, 임종시의 심판, 저승길의 애통함, 칠성판에 뉘이는 장면, 달구질하는 장면, 조문객 해산의 과정 등이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다. 다른 〈회심곡〉류에 비해 특히 장례 과정의 비통함이 길게 제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결사(431∼458구)는 ‘모씨 영가(某氏 靈駕)’가 49재를 지낸 공덕으로 극락에 갈 것이라는 축원과 덕담 부분이다.
전체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이 〈회심곡〉과 유사하여 이본 관계에 있다. 그러나 1단락에는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이, 2단락에는 장례과정이 삽입되어 일반적인 〈회심곡〉보다도 분량이 많이 확장되었다. 특히 제4단락을 통해 이 작품이 부모의 천도재 때 부른 ‘화청’의 가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대에 불교의식에서 실제로 구연한 이경협의 목소리가 개입된 작품으로 작품의 독창성보다는 가창의 현장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