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게임 꽁 머니 군위 법주사 괘불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714년에 수화승 두초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한 야외의식용 불화.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14년(숙종 40)
작가
두초(杜迢), 변철(卞哲), 치겸(致謙), 심안(心安), 익삼(益三), 득한(淂閑), 행상(幸詳), 광연(廣演), 붕안(鵬眼)
소장처
법주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군위 법주사 슬롯 게임 꽁 머니도(軍威 法住寺 掛佛圖)
분류
유물/불교회화/괘슬롯 게임 꽁 머니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8년 11월 27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군위군 달산3길 215 (소보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군위 법주사 괘불도」는 1714년에 수화승 두초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한 야외의식용 슬롯 게임 꽁 머니이다.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법주사에 있으며, 본존은 여러 부처가 표현된 보관을 쓰고 설법인을 한 두 손으로 연꽃을 들고 서 있는 모습으로 석가여래와 노사나불의 도상을 결합한 독특한 형식이다. 맑고 화려한 채색의 담채기법과 세밀한 묘사를 볼 수 있는 18세기 전반기의 뛰어난 의례용 슬롯 게임 꽁 머니이다.

키워드
정의
1714년에 수화승 두초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한 야외의식용 불화.
내용

1714년(숙종 40)에 수화승 두초(杜迢)와 변철(卞哲), 치겸(致謙), 심안(心安), 익삼(益三), 득한(淂閑), 행상(幸詳), 광연(廣演), 붕안(鵬眼)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하였다. 영산재(靈山齋), 예수재(預修齋)와 같은 야외 의례에 사용되던 대형 슬롯 게임 꽁 머니슬롯 게임 꽁 머니.

형태 및 특징

비단 바탕에 세로 1,029.0㎝, 가로 629.2㎝ 크기에 1714년 제작된 의례용 슬롯 게임 꽁 머니이다. 본존은 원형 두광과 연꽃잎형 신광을 갖추고, 화불 5위가 표현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양쪽으로 벌린 설법인 수인을 한 양손에 연꽃 가지를 들고 연화좌 위에 서 있다. 설법인은 노사나불의 수인이고, 슬롯 게임 꽁 머니 가지를 들고 있는 것은 염화시중 석가여래의 수인이 합쳐진 것이다. 화면 아래 양쪽 모퉁이에 화염 보주를 든 용녀(龍女)와 공양물을 든 용왕(龍王)이 측면관으로 서 있고, 화면 위로 3위의 타방불과 왼쪽에 백의 관음보살과 여래 1위, 오른쪽에 대세지슬롯 게임 꽁 머니과 여래 1위가 원형 광배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매우 특이한 도상슬롯 게임 꽁 머니.

색채는 붉은색 대의와 흰색 군의를 입은 본존에 녹색, 흰색, 황토색 등을 담채 기법으로 채색하여 슬롯 게임 꽁 머니이 밝고 담백하다. 슬롯 게임 꽁 머니 위에 두 줄의 풍대가 그려져 있고, 20자의 범자(梵字) 원문(圓文)을 적어 슬롯 게임 꽁 머니을 장엄하였다.

의의 및 평가

노사나불과 석가여래 도상을 결합한 특이한 형식으로 맑은 채색과 섬세한 장식문양을 사용하여 18세기 전반기의 다른 괘불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화면 구성을 하고 있다. 슬롯 게임 꽁 머니을 들고 보관을 쓴 주존불을 한 괘불도는 공주 「 마곡사 석가모니불 슬롯 게임 꽁 머니탱」(1687년) 형식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관을 쓰고 슬롯 게임 꽁 머니을 들고 있는 도상'이 특징이다. 2018년 11월 2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형슬롯 게임 꽁 머니 정밀조사보고서』 8 「법주사 괘불탱」(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17)

논문

문명대, 「군위 법주사 1714년작 보관 석가불슬롯 게임 꽁 머니도」(『강좌미술사』 32, 한국미술사연구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