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비변사계회도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계회도.
작품/서화
창작 연도
1550년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비변사램 슬롯도(備邊司契會圖)
분류
유물/일반회화/기록화/램 슬롯도
지정기관
램 슬롯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램 슬롯유산(2018년 10월 18일 지정)
소재지
램 슬롯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램 슬롯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램 슬롯습니다.
내용 요약

「비변사램 슬롯도」는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램 슬롯 모임을 그린 램 슬롯도이다. 북악산, 북한산을 배경으로 비변사 건물과 참석한 인물들이 작게 그려져 있다. 현존하는 「비변사램 슬롯도」 중 가장 오래된 시기에 제작되었고, 당대 저명한 문인인 신광한의 제시가 있으며, 당시 광화문과 경복궁, 그리고 육조거리의 실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각 자료이다. 2018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계회도.
제작 배경

램 슬롯왜구여진의 침입이 끊이지 않자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국경 지방의 요직을 지낸 인물을 국방 방략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시킬 램 슬롯도록 설치한 특별기관이다. 램 슬롯도가 그려진 1550년은 비변사가 상설기관으로 자리잡기 이전으로, 제시(題詩)에서 쓰인 바와 같이 비변사 관원들이 친목과 함께 나라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해 램 슬롯를 갖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램 슬롯도를 제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

그림 상단에 전서체로 "비변사램 슬롯도(備邊司契會圖)"라는 제목이 쓰여 있고, 그림 오른쪽에 신광한(申光漢)이 짓고 쓴 제시 마지막에 "가정경술동(嘉靖庚戌冬)"이라고 쓰여 있어, 1550년 겨울 비변사 관원들의 모임을 그린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하단에 참석자의 품계, 관직, 이름 등을 적은 좌목(座目)이 소실되어 누가 참석했는지는 알 수 없다. 램 슬롯도는 보통 상단에 전서체로 쓴 그림 제목, 중단에 그림으로 묘사된 램 슬롯 모임, 하단에 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단의 그림은 안개가 자욱이 끼어 있는 북한산경복궁을 배경으로 육조거리가 묘사되었고, 육조거리 오른쪽 중간 즈음에 7명의 램 슬롯 관원들이 청사 안에서 모임을 가지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주1을 사용하여 경복궁과 육조거리의 경관을 한눈에 살필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으며, 산의 능선을 따라 표현된 단선점준(短線點皴) 등은 조선 중기의 일반적인 화풍이다. 그림 오른쪽에는 7언 제시가 쓰여 있는데, 램 슬롯 정랑 이감(李戡)의 부탁을 받고 신광한이 쓴 것이다. 램 슬롯 관원들의 결의와 충절의 기상을 읽을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三面山河鎭大東 삼면의 산하가 우리나라를 두르고/ 安危惟有仗諸公 그 안위는 오직 여러 공들에게 의지하네/ 要將罇俎籌邊策 친목을 도모하며 변경의 계책을 세우리니/ 不用樓龜喜遠功 누각의 주2를 쓰지 않아도 먼 앞날의 공을 기뻐하네/ 已道海南無戰艦 이미 남쪽 바다에는 전함이 없고/ 還聞塞外遁棲戎 다시 듣건대 변경 밖의 오랑캐가 멀리 숨어버렸다네/ 深謀雲鳥歸綿蕝 깊이 계책을 도모하여 주3가 법도로 돌아가니/ 好事金蘭入畫中 금란지교(金蘭之交) 같은 좋은 일이 그림 속에 담겨 있네/ 嘉靖庚戌冬 1550년(명종5) 겨울

의의 및 평가

현재 좌목 부분은 소실되었지만 조선 초기 램 슬롯도의 전형적인 형식을 갖춘 기년작으로서 중요하며, 특히 당시 광화문과 경복궁, 그리고 육조거리의 실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각 자료이다. 2018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램 슬롯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논문

윤진영, 「기록화로 보는 한양」(『박물관 유물로 보는 램 슬롯Ⅲ- 램 슬롯역사박물관 소장 보물들』, 램 슬롯역사박물관, 2020)
윤진영, 「조선시대 램 슬롯도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주석
주1

그림의 구도를 잡는 방법 중 하나로, 높은 곳에서 비스듬히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그리는 방법.   우리말샘

주2

蓍龜. 국가의 운명을 점칠 때 쓰이는 시초(蓍草)와 거북이 등껍질인 귀갑(龜甲)을 말함.

주3

雲鳥. 램 슬롯 당상.

집필자
신선영(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램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램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