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슬롯 커뮤니티계지각」은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서울 인왕산 슬롯 커뮤니티계의 풍경과 그 속에 자리 잡은 슬롯 커뮤니티지각을 묘사한 진경산수화이다. 정선의 슬롯 커뮤니티계 그림 중에서 슬롯 커뮤니티지각을 중심으로 그려진 유일한 작품으로, 맑은 청록의 수림을 깊이 있고 힘차게 구사해 정선 특유의 진경산수화법을 확고하고 수준 높게 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9년 4월 10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슬롯 커뮤니티(鄭敾)이인왕산 서쪽 기슭에 있던 늠연사(凜然詞)를 중심으로 태고정(太古亭), 슬롯 커뮤니티지각(靑風池閣) 등을 슬롯 커뮤니티계의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묘사한 그림이다. 늠연사는 1637년(인조 15) 병자호란때 순절한김상용(金尙容)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김상용의 충절을 기리면서 18세기 한양 문사들의 은일과 탈속의 장소로 애호했던 인왕산 슬롯 커뮤니티계의 아름다운 풍경을 정선 특유의 강하고 빠른 필묵과 풍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부감법(俯瞰法)으로 표현하였다.
정선은 슬롯 커뮤니티계 그림을 여러 폭 그렸는데, 슬롯 커뮤니티계의 늘어선 암반들을 배경으로 늠연사, 슬롯 커뮤니티지각, 태고정, 주1 등을 배치한 세로로 긴 축 형식의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본(1730년경 작)과 간송미술관 소장본(1739년 작)이 있고, 늠연사, 삼지와 태고정 등 슬롯 커뮤니티계 유거지 장면을 강조하여 묘사한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본 등이 있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의 「슬롯 커뮤니티계지각」 역시 슬롯 커뮤니티계 암벽들을 중첩시키기보다 슬롯 커뮤니티계 유거지 장면을 강조한 그림이다.
「슬롯 커뮤니티계지각」은 화면 오른쪽에 "淸風溪池閣(슬롯 커뮤니티계지각)"이라는 제목과 "謙齋(겸재)"라는 호가 쓰여 있다. 슬롯 커뮤니티계 아래 늠연사를 중심으로 왼쪽 아래에 태고정이 있고 오른쪽 아래에는 팔작지붕의 슬롯 커뮤니티지각이 보인다. 태고정 왼쪽으로 보이는 소나무로 우거진 산언덕이 만송강(萬松岡)이며 늠연사의 앞이 조심지(照心池)이다. 그리고 태고정의 옆 부분이 함벽지(涵碧池), 태고정의 앞이 척금지(滌衿池)이다. 다른 슬롯 커뮤니티계 그림에 비해 태고정이 작게 그려지고 대신 슬롯 커뮤니티지각이 완전하게 재현되어 있어 슬롯 커뮤니티계의 풍경 가운데 슬롯 커뮤니티지각을 중심으로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정선의 슬롯 커뮤니티계 그림 중에서 슬롯 커뮤니티지각을 중심으로 그린 유일한 작품으로, 맑은 청록의 수림을 깊이 있고 힘차게 구사해 정선 특유의 진경산수화법을 확고하고 수준 높게 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9년 4월 10일 부산광역시 유형슬롯 커뮤니티재(현, 유형슬롯 커뮤니티유산)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