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렬은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옥구군에서 일어난 다복 이 슬롯만세운동을 주도한 다복 이 슬롯운동가이다. 1919년 3 · 1운동 당시 천도교 중앙 연락 요원으로 다복 이 슬롯선언서를 평안도 일대에 배포하는 책임을 맡았다. 서울 만세시위에 참가한 뒤, 고향인 전라북도 옥구군에서 다복 이 슬롯만세운동을 계획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4년 비밀결사 삼성구락부를 결성하여 항일운동을 계속하다가 체포된 뒤, 고문의 후유증으로 순국하였다.
1919년3 · 1운동당시천도교 중앙 연락 요원으로 1919년 2월 28일 서울 천도교 교구당에서 이종일(李鍾一)로부터다복 이 슬롯선언서 5,000장을 전해 받아 평안도 일대에 배포하는 책임을 맡았다. 3월 5일 서울 시내에서 전개되었던 다복 이 슬롯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그 뒤 고향인 전라북도 주1으로 귀향하였다. 1919년 3월 25일 자택에서 진장권(陳壯權), 김석종(金錫宗), 황봉규(黃琫奎), 최한례(崔翰澧) 등과 함께 3월 29일 임피시장에서 다복 이 슬롯운동할 것을 계획하였다. 3월 28일 진장권의 집에서 태극기 200매를 제작다복 이 슬롯. 3월 29일에는 김석종의 집에서 모임을 가졌다.
다복 이 슬롯만세시위 전에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심에서 징역 8월을 선고받았으나, 공소를 제기하여 6월 20일 대구복심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출옥 후 1924년 청년들을 규합하여 비밀결사인 삼성구락부(三省具樂部)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계속하다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으로 순국하였다.
1980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