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섀도 어 슬롯 강화)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에 위치한 논습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에 위치한 논습지.
개설

강화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 군락지는 섀도 어 슬롯 강화내셔널트러스트의 시민자연유산 제1호로서, 2008년 10월 13일에 오대산 국립공원 섀도 어 슬롯 강화, 물장오리오름 섀도 어 슬롯 강화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아홉 번째로 람사르섀도 어 슬롯 강화( 람사르 협약에 의해 지정된 습지)에 등록되었다. 논습지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등록되었는데, 등록면적은 3,015㎡이다.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 군락지 주변은 대부분 친환경 농법을 도입한 농지로 활용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1998년에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일대의 논에서 매화마름 군락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매화마름 군락지는 경지정리에 의해 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었지만, 2000년에 섀도 어 슬롯 강화내셔널트러스트는 지역 주민과의 협의를 통해 훼손 위기에 처한 초지리 매화마름 군락지를 보전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섀도 어 슬롯 강화내셔널트러스트는 지역 주민과의 간담회와 매화마름 분포 조사 등을 거치고, 시민성금을 모아 초지리 매화마름 군락지 3,009㎡를 보전하였다. 2003년에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일대에서도 매화마름 군락지가 발견되었다. 이 지역 또한 주민과의 협의를 통해 3,795㎡의 매화마름 군락지를 보전할 수 있게 되었다.

현황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 군락지에는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을 포함한 약 100여 종의 야생화와 수생식물, 수서곤충이 살고 있다.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저어새와 198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랑부리백로 등 다양한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으며, 청개구리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금개구리·맹꽁이·능구렁이 등 양서파충류가 서식하고 있다.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은 1960년대까지 영등포에서도 채집될 정도로 흔한 습지식물이었다. 하지만 연못과 습지의 파괴, 수질오염에 의해서 찾아보기 어려우며, 현재는 서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환경부는 1998년 2월 26일에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을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하였다.

초지리에서는 매화섀도 어 슬롯 강화을 보전하기 위해 친환경 농법이 도입되었으며, 이러한 농법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습지로서의 논과 주변 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친환경 농업을 적용한 후에는 참게, 새뱅이(민물새우), 논우렁이, 곳체다슬기, 물달팽이 등 청정섀도 어 슬롯 강화에 사는 갑각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붕어, 붕어, 떡붕어,잉어, 미꾸라지와 같은 어류도 서식하고 있다.

참고문헌

『습지를 찾아서: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람사르 습지와 습지보호지역 안내서』(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8)
국립섀도 어 슬롯 강화센터(www.wetland.go.kr)
람사르(www.ramsar.org)
집필자
박종철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