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언해
훈민정음언해
문자
개념
한글 모음자 가운데 아홉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응.
이칭
이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한글 모음자 가운데 아홉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응.
개설

한글 자모의 스물세 번째 글자이자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자 가운데 아홉 번째 글자로, 후설ㆍ평순ㆍ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으’를 표기하기 위한 글자이다.

내용

『훈민정음』해례본(解例本)의 제자해(制字解)에 의하면 ㅡ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기본자인 ㆍ, ㅡ, ㅣ 가운데 두 번째 글자로 “그 모양이 평평함은 땅을 본뜻 것[形之平 象乎地也]”이다. 또한 ㅡ의 음가에 대해서는 혀를 조금 오그라지게 해서[舌小縮] 조음하고 소리는 깊지도 얕지도 않다[聲不深不淺]고 되어 있다.

한편 ‘설소축’을 기준으로 볼 때 ‘으’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어’, ‘우’와 하나의 부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렇지만 ‘으’와 비교할 때 ‘어’의 발음은 입을 벌리고[口張] ‘우’의 발음은 입을 오므린다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ㅡ가 나타내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음가가 현재와 유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문자로서의 ㅡ는 단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ㅗ와 ㅜ를 만들 때 참여하는데 제자해에 “ㅗ는 ㅡ와 한 종류인데 입을 오므리니 그 모양인즉 ㆍ와 ㅡ가 어울려서 이루어진 것이며, ㅜ는 ㅡ와 한 종류인데 입을 오므리니 그 모양인즉 ㅡ와 ㆍ가 어울려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훈몽자회』 범례에서는 중성으로만 쓰이는 11자[中聲獨用十一字] ‘ㅏ(아, 阿), ㅑ(야, 也), ㅓ(어, 於), ㅕ(여, 余), ㅗ(오, 吾), ㅛ(요, 要), ㅜ(우, 牛), ㅠ(유, 由), ㅡ(응, 應: 종성은 사용하지 아니함), ㅣ(ᅀᅵ, 伊: 중성만 사용함), ㆍ(ᄉᆞ, 思: 초성은 사용하지 아니함)’ 중 ㅡ를 아홉 번째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자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순서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훈몽자회(訓蒙字會)』
『훈민정음(訓民正音)』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국립국어원 편, 생각의나무, 2008)
『국어학사』(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탑출판사,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