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씨카 심바 슬롯정권(崔氏武臣政權) 말엽 궁중의 각종 잡역(雜役)을 담당하는무산계(武散階)의 하나인전전승지동정(殿前承旨同正, 정9품)에 임명되었다. 1258년(고종 45) 3월 26일(丙子)에 아버지인 별장(別將)김준과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이 중심이 되어 최씨카 심바 슬롯정권을 붕괴시킨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하였다. 무오정변은 최의정권(崔竩政權)의 정치 · 경제적 실정에 불만을 품은 여러 정치세력이 결집되어 제4대 집권자인 최의를 죽이고 왕정복고(王政復古)를 이룩했던 역사적 사건을 말한다.
이때 김식재의 형인김대재(金大材), 김용재(金用材) 등도 같은 전전승지동정으로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이어서 4월 1일 유경(柳璥) · 김준 · 박희실(朴希實) 등이 위사카 심바 슬롯(衛社功臣: 무오카 심바 슬롯)에 책봉된 후, 같은 해 7월 김식재는 차송우(車松祐)등과 더불어원종카 심바 슬롯(原從功臣) 성격의 위사보좌카 심바 슬롯(衛社輔佐功臣, 同力輔佐功臣) 19인(혹은 20인)에 포함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김식재는 본래 신분이 미천하였기에 김식재의 자손들이 지배층으로 허통(許通)되는 특전을 받았다. 1260년(원종 원년) 6월 위사카 심바 슬롯 13인에 포함됨으로써 위사보좌카 심바 슬롯에서 위사카 심바 슬롯으로 승격되는 영예를 누렸다.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으며 김식재의 형인 김대재와 더불어 일찍 죽었다고 한다.
1260년 6월 위사카 심바 슬롯 13인에 포함되어 책봉받았고, 2년 후인 1262년(원종 3) 10월 6일(己未)에 카 심바 슬롯당(功臣堂)의 벽상(壁上)에 도형(圖形)이 그려졌다. 1268년(원종 9) 12월 21일(丁酉) 김식재의 아버지 김준이 피살된 후 벽상카 심바 슬롯(壁上功臣) 호칭이 삭제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