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미륵불상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금산사 미륵장륙상
김제 금산사 미륵장륙상
조각
개념
석가불에 이어 중생을 구재할 미래의 부처인 미륵불을 형상화한 불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료 슬롯불상은 석가불에 이어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인 무료 슬롯불을 형상화한 불상이다. 무료 슬롯불은 시공간을 초월해서 불교도들에게 널리 신앙되었다. 초기의 무료 슬롯불상은 무료 슬롯불상만의 특징을 갖추지 못했다. 그러다가 통일신라 전후에 의자에 앉아 있는 의좌상이 도상적 특징으로 확립되었다.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등이 그 예이다. 이외에 수인 등에서 무료 슬롯불상의 특징을 찾을 수도 있다. 무료 슬롯불상은 다른 존상에 비해 크게 제작되었다. 관촉사 무료 슬롯보살입상 등은 모두 10m가 넘는 초대형 상이다. 무료 슬롯불은 미래불로서 불교미술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목차
정의
석가불에 이어 중생을 구재할 미래의 부처인 미륵불을 형상화한 불상.
내용

무료 슬롯불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불교도들에게 널리 신앙되었다. 무료 슬롯불은 혼탁한 말법시대에 주1이라는 위대한 지도자가 출현하여 모든 백성을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공평하게 다스리는 평화로운 세상이 되었을 때 비로소 도솔천에서 화림원주2 아래로 내려와 3번의 법회를 열어 모든 중생들을 구제하는 부처이다. 무료 슬롯불상은 『무료 슬롯대성불경(彌勒大成佛經)』과 『무료 슬롯하생경(彌勒下生經)』등 하생경전에 근거한다.

초기의 무료 슬롯불상은 석가여래나 다른 존상들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불의(佛衣)를 착용하고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의 수인을 짓는 등 무료 슬롯불상만의 도상적 특징을 갖추지 못하였다. 차츰 신앙이 세분화 되면서 무료 슬롯불상도 다른 불상들과 구분이 필요했고, 주3로서의 성격을 반영한 무료 슬롯불 특유의 모습으로 정립되어 갔다. 중국주4·주5이후, 우리나라는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된 무료 슬롯불상들은 대체로 의자에 앉아 편안히 두 다리를 내린 의좌세(倚坐勢)로 나타나며 이후 이렇게 앉은 의좌상은 무료 슬롯불상의 도상으로 확립되었다. 대표적인 조상 예로는 640년경의 삼화령 석조무료 슬롯불의좌상이나주6의 포항고석사마애무료 슬롯불의좌상,고려시대의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좌세 이외 무료 슬롯불상의 특징은 수인에서 찾을 수 있다. 무료 슬롯불상의 수인은 무료 슬롯보살상과 마찬가지로 무료 슬롯하생 때 용화수 아래에서 펼쳐지는 장엄한 세 번의 설법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이른바 용화수인(龍華手印)이다. 용화수의 꽃가지나 꽃 봉우리를 두 손 또는 한 손으로 받쳐 든 형태로 나타나는데, 가지로 표현될 경우 여러 개의 꽃과 봉우리로 구성된 예가 많다. 이러한 용화수인은 인도 굽타시대 말경부터 등장하는 무료 슬롯보살상의 도상적 특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본격적인 유행은 고려시대이다.

무료 슬롯불상은 크기에 있어서도 다른 존상에 비해 크게 제작되었다. 무료 슬롯의 크기에 대해서는 『무료 슬롯내시경(彌勒來時經)』과 『관불삼매해경(觀佛三昧海經)』 염칠불품(念七佛品) 등에 “석가불 장육(丈六), 무료 슬롯불 십육장(十六丈)”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무료 슬롯불상의 대부분이 10m 이상의 대형 상으로 조성된 것으로 볼 때 경전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다른 존상과 차이를 두었다. 즉 삼국시대단석산 신선사 마애무료 슬롯불입상이나 고려시대에 조성된 관촉사 무료 슬롯보살입상이나충주 무료 슬롯대원 무료 슬롯불입상 등은 모두 10m 이상의 초대형 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료 슬롯불상의 협시보살상에 대해 무료 슬롯경전에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무료 슬롯화상법(彌勒畵像法)에 대해 설하고 있는 밀교경전에는 무료 슬롯불의 협시로 법음륜(法音輪)과 대묘상(大妙相)이 등장하고, 조선전기에 간행된 불교 의례집인 「염불작법(念佛作法)」과 1678년에 제작된 청양 장곡사 무료 슬롯불괘불탱에서는 대묘상보살(大妙相菩薩)과 법림보살(法林菩薩)이 무료 슬롯불의 협시보살로 등장하고 있어 조선시대 이후에는 대묘상보살과 법림보살이 무료 슬롯불의 협시보살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구성된 대표적인 삼존상이 김제 금산사 무료 슬롯전 무료 슬롯여래삼존입상이다.

의의

무료 슬롯불은석가모니불을 뒤를 잇는 당래불이자 미래불로서 불교미술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무료 슬롯신앙은 죽어서는무료 슬롯보살이 계시는 도솔천에 태어나 복락을 얻고, 다시 무료 슬롯보살이 하생할 때는 고귀한 신분으로 태어나 용화삼회의 법회에 참여하여 구제를 받는 것이 요체이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고 살고 있는 바로 이 땅에 평화로운 불국토를 건설하는 데 있다. 그러하기에 무료 슬롯정토사상이 때로는 왕권과 결부되어 강력한 전제권력의 이념적 배경을 제공하였고, 사회변혁을 꿈꾸는 혁명가들에는 혁명과 반란의 원동력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한편 착취와 억압으로 고통 받던 민중들은 곳곳에 자기 자신의 모습을 담은 무료 슬롯불을 조성하여 속히 전륜성왕이 치세하는 평화로운 시대가 오기를 갈망하였다.

참고문헌

『무료 슬롯하생경(彌勒下生經)』
『무료 슬롯하생성불경(彌勒下生成佛經)』
『관음과 무료 슬롯의 도상학』(강희정, 학연문화사, 2006)
「포항 고석사 통일신라 무료 슬롯불의상의 최초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문명대, 『강좌미술사』3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9)
「고려시대 「무료 슬롯하생경변상도」 연구」(손영문, 『강좌미술사』3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8)
「고려시대 용화수인 무료 슬롯도상의 연구」(손영문, 『미술사학연구』252, 한국미술사학회, 2006)
주석
주1

인도 신화 속의 임금. 정법(正法)으로 온 세계를 통솔한다고 한다. 여래의 32상(相)을 갖추고 칠보(七寶)를 가지고 있으며 하늘로부터 금, 은, 동, 철의 네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킨다. 우리말샘

주2

석가모니가 그 아래에서 변함없이 진리를 깨달아 불도(佛道)를 이루었다고 하는 나무. 우리말샘

주3

내세에 성불하여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하리라는 보살. 인도 파라나국의 브라만 집안에서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부처가 될 수기(受記)를 받은 후 도솔천에 올라갔다. 우리말샘

주4

581년에 중국 북주(北周)의 양견(楊堅)이 정제(靜帝)의 선양(禪讓)을 받아 세운 왕조. 581년에 개국하였으며, 589년에 진(陳)나라를 합쳐 중국을 통일하였으나, 618년에 당나라 고조 이연(李淵)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5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6

신라가 백제, 고구려를 무너뜨리고 삼국을 통일한 676년 이후부터 935년까지의 시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손영문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