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자호의『조선요리법』에 기록된 죽상차림의 예시를 보면 죽과 함께 물김치류, 찌개, 포와 같은 마른찬과 간장 등 조미료가 함께 차려져 있다. 마른 찬으로는 포 이외에도 북어나 암치·건대구를 보푸라기로 만들어 놓거나 다시마·미역자반 등을 올리플레이 텍 슬롯 한다. 궁중에서 초조반상(初早飯床)으로 차려질 경우에는 밥을 주식으로 한 수라상의 찬류와 거의 구색이 동일하다.
왕실에서는 아침수라에 앞서 초조반상으로 죽수라가 올려졌고, 미음과 함께 식치(食治)음식으로 사용되플레이 텍 슬롯 하였다. 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 죽으로는 흰죽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열이 심할 때는 녹두죽, 비위를 보호하거나 상(喪) 중이라 육찬(肉饌)이 금지되었을 때는 타락죽을 올리플레이 텍 슬롯 하였다. 그밖에 청량미죽·율무죽·부추죽·흑임자죽·연자죽 등이 병의 치료를 돕기 위한 차원에서 탕제와 함께 사용되었다.
이른 아침 시간에 조반(朝飯)을 먹기에 앞서 가볍게 죽을 먹거나 보양(保養), 병후(病後)의 회복음식(恢復飮食) 뿐만 아니라 식량이 부족할 때 국가에서 구휼(救恤) 목적으로 죽을 배급하플레이 텍 슬롯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