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중반까지 우리나라의 각 가정에서는 웃어른께는 따로 진지상을 한분씩 외상으로 차려드리고, 아이들은 겸상이나 두레반에 차렸다. 혼례나 회갑 등 잔치 때에는 손님들께 국수를 주식으로 한 장국상을 한사람 씩 외상을 차려서 대접한다.
조선시대에 정립된 상차리기는 유교이념을 근본으로 한 대가족제도가 크게 반영되어 있고, 온라인 슬롯 게임을 담는 기명도 상차리기에 따라 대체로 규격화되었다. 일상 시의 밥상은 3첩반상, 5첩반상, 7첩반상으로 차린다. 반찬그릇을 쟁첩이라 하는데 이들 숫자로 (몇)첩반상이라 한다.
외상을 차릴 때는 수저 한 벌을 상 오른쪽 끝에서 3㎝정도 나가게 놓는다. 앞줄에는 밥을 왼쪽, 국을 오른쪽, 찌개와 찜은 오른 쪽 중간에 놓고, 종지는 밥주발 바로 뒤쪽에 간장·초장·초고추장·초젓국 등의 순서대로 늘어놓으며, 김치는 보시기에 담고 상 뒤쪽 줄에는 왼쪽부터 동치미·배추김치·깍두기의 순으로 놓는다. 오른쪽에 국물김치가 오도록 한다. 반찬 그릇(쟁첩)은 나머지 공간에 놓는데 밑반찬(자반·장아찌·젓갈 등)은 왼쪽에 놓고, 더운 반찬인 전·구이와 회·편육·김구이 등을 오른쪽에 놓는다. 그리고 찜은 합 또는 조반기에 담아서 찌개 뒤에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