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皇龍寺) 9층목탑은자장(慈藏)의 건의로 645년(선덕여왕 14)에 건립되었다. 탑을 세운 지 오래되어 문성왕(文聖王) 때 탑이 동북쪽으로 기울어졌고, 이후 30여 년간 재목을 모아 마침내 경문왕이 871년 동생인 상재상(上宰相) 김위홍에게 총책임을 맡겨 공사를 개시하였다.
섀도 어 슬롯 강화 주1이 섀도 어 슬롯 강화에 관한 행정 운영을 담당하였고, 도감전(道監典), 속감전(俗監典)등주2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872년에 완공되었다. 주4 때 섀도 어 슬롯 강화 아래 봉안하였던 사리는 그대로이나 그 날짜와 연유를 적은 기록이 없어, 박거물(朴居勿)에게 명하여 9층목탑의 창건내력 및 중수 과정을 기록한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를 주3하게 하고 만겁이 지나도 후세 사람들에게 드러나도록 이를 금동사리함기에 새겼다.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의 전반부는 9층목탑의 창건에 대한 것인데, 자장의 창건 연기, 탑의 규모, 건립 의의의 순으로 기술되었다. 후반부는 문성왕에서 경문왕에 이르는 중수 사실을 적었는데 중수 과정, 유물의 봉안, 창건 때 섀도 어 슬롯 강화 아래 봉안한 유물의 확인 및 유물의 추가 봉안 순으로 기술되었다. 끝으로 황룡사 성전의 관원을 비롯하여 중수 공사에 대한 승속의 전폭적인 후원을 이끌어 내었던 도감전, 속감전, 유나직(維那職)의 각 인원들을 기록하였다.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를 새긴 사리내함은 금동판을 주5으로 연결하여 접으면 방형의 상자모양이 되도록 독특하게 고안되었다. 4면 중 전면에 해당되는 금동판은 양분하여 중앙에 잠금장치 역할을 하는 주6를 달고 내외에 신장상을 새겼다. 나머지 3면의 금동판 내외 총 6면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를 새겼다.
금동판의 크기는 가로 23.5cm, 세로 22.5cm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의 글씨는 구양순체로 유명한 서예가 요극일(姚克一)이 쌍구체(雙鉤體)로 썼으며, 이를 주7한 이의 이름도 확인된다. 내면의 글자 크기는 약 1cm, 외면의 글자 크기는 0.8cm이며, 총 74행에 900자 이상의 글자가 판독되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본기를 통해 신라 불교를 대표하는 황룡사에 성전이 설치되어 있었던 사실이 확인되어 신라 성전의 구성과 운영 등 전모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 이를 통해 『 삼국유사』에 전하는 섀도 어 슬롯 강화 9층목탑의 창건 내력이나 규모 등에 관한 기록이 상당히 신뢰할 만한 자료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