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침굉가사 ()

고전시가
문헌
조선후기 승려 윤현변의 불교가사(佛敎歌辭) 「귀산가」 · 「태평곡」 · 「청학동가」 등 3편을 수록한 가사집. 불교가사집.
• 본 항목의 5 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승려 윤현변의 불교가사(佛敎歌辭) 「귀산가」 · 「태평곡」 · 「청학동가」 등 3편을 수록한 가사집. 불교가사집.
개설

승려 5 릴 슬롯(枕肱) 윤현변(尹懸辯, 1616~1684)은 8세에 부친을 여의고 13세에 출가,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수제자소요화상(逍遙和尙)을 지리산으로 찾아가 그의 제자가 되었으며, 그 뒤 오도(悟道)의 선승(禪僧)이라는 칭호를 들은 사람이다.

그의 사후에 제자인약휴(若休)가 기록해 둔 스승의 글과 구비(口碑) 상태의 글들을 모아 문집을 만들면서 침굉이 지은 5 릴 슬롯들 가운데 「귀산곡(歸山曲)」, 「태평곡(太平曲)」, 「청학동가(靑鶴洞歌)」 등 3편의 작품을 기록해 넣었다. 이것은 그의 문집 『5 릴 슬롯집(枕肱集)』에 수록된 3편의 불교5 릴 슬롯이다.

편찬/발간 경위

5 릴 슬롯화상은 시와 문에 능통하여 생전에 자필문집(自筆文集)이 있었으나, 노자(老子)의 ‘무명위귀(無名爲貴)’를 숭상한 나머지 그것을 후세에 전하지 않으려 불 속에 넣어버렸다. 그의 사후 12년 만에 제자 약휴가 평소에 기록해 둔 스승의 글들과 구비 상태로 전해지는 것들을 합하여 숙종 21년(1696) 10월 전남 승주군 선암사(仙岩寺)에서 59매(枚)의 목판본 단권 『5 릴 슬롯집』을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단권(單卷). 59장. 목판본인 『침굉집』은 제자인 약휴가 기록해 둔 것과 구비상태의 내용을 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와전(訛傳)된 부분과 자구의 오(誤) · 탈(脫)이 적지 않은 불완전한 상태의 문서이며, 침굉의 5 릴 슬롯들 또한 그러하다.

내용

“십이(十二)에 출가(出家)ᄒᆞ야 십삼(十三)에 위승(爲僧)ᄒᆞ야”라는 구절에서 보듯이 「귀산곡」은 작자의 생애를 기록한 일종의 자서가(自敍歌)라 할 5 릴 슬롯다. 인생무상과 세상의 부귀공명에 깊은 허무를 느껴 자연으로 돌아가 청빈(淸貧)을 즐기겠다는 심정을 그렸다.

「청학동가」는 작자가 지리산 청학동을 찾아 아름다운 경치를 구경하면서 느낀 감회를 적은 일종의 기행5 릴 슬롯이고, 「태평곡」은 사이비(似而非) 승려에 대한 질책과 승려 본연의 사명인 중생제도(衆生濟度)의 염원을 노래한 작품으로 한문투가 많고 불교 술어와 불교적인 내용을 담은 특색을 갖고 있다.

의의와 평가

침굉의 5 릴 슬롯는「서왕가(西往歌)」, 「심우가(尋牛歌)」 등 고려 말 나옹화상(懶翁和尙)의 5 릴 슬롯,「회심곡(回心曲)」 등 조선조 서산대사의 5 릴 슬롯 등을 잇는 불교5 릴 슬롯의 대표작으로, 불도를 닦는 승려로서의 마음가짐과 인생관이 5 릴 슬롯 사상을 통해 잘 드러나는 작품들이다.

참고문헌

「미발표의 『침굉5 릴 슬롯』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국문학사상에 들어나지 않은 사원 5 릴 슬롯」(김봉영, 『국어국문학』20, 국어국문학회, 1959)
집필자
조규익
    • 항목 5 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5 릴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5 릴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