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 의 슬롯 머신는 남녀 간 사회적 결합체인 가족을 영위함에 필요한 살림 물품이다. 슈 의 슬롯 머신품이라고도 한다. 슈 의 슬롯 머신 내용은 해당 사회의 생계 수단 및 생계 방법, 혼인 후의 주거 규정에 따라 달라진다. 전통적 가족제도 하에서는 여자가 시집의 구성원 속에 흡수된다. 이에 슈 의 슬롯 머신는 여자가 시집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과 시집의 경제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 슈 의 슬롯 머신 관행은 현대사회까지 이어져 신부 쪽에서 슈 의 슬롯 머신를 장만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만 살림살이가 기본적 슈 의 슬롯 머신를 이루는 가운데 옷감의 비중은 줄고 가구나 가전제품이 중시되고 있다.
슈 의 슬롯 머신 결정요인으로는 해당 사회의 생계수단 및 생계방법과 혼인 후의 주거규정을 들 수 있다. 실제 생계방법을 달리하는 사회나 각 사회의 생계방법이 변화할 때마다 슈 의 슬롯 머신내용이 달라지며, 처가거주제(妻家居住制) · 시가거주제(媤家居住制) · 신거주제(新居住制) 등에 따라 슈 의 슬롯 머신내용이 달라진다. 처가 및 시가거주제는 이미 존재하는 가족집단 속으로 혼인한 남녀가 흡수되기에 슈 의 슬롯 머신내용이나 성격이 비교적 명확한 반면, 신거주제는 새로운 살림을 꾸려야 하기에 신랑 신부 양쪽의 슈 의 슬롯 머신 내용이 달라지게 된다. 단 시대적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전통성을 유지하는 필수적 슈 의 슬롯 머신품은 해당사회의 혼인 의미에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해준다.
우리나라 고대의 슈 의 슬롯 머신내용은 단편적 기록을 통한 추론만이 가능하다.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 고구려전에는, “저녁에 사위가 집 밖에 와 딸과 함께 자도록 간청하면, 장인 · 장모가 집 뒤에 지은 사위집으로 안내하여 딸과 함께 자도록 하는데, 사위는 이때 돈과 비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자라면 비로소 사위는 처자를 데리고 자기의 집으로 돌아간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돈과 비단은 슈 의 슬롯 머신의 일종이며, 당시의 주거규정에 비추어볼 때 슈 의 슬롯 머신는 신랑이 신부쪽 집에서 일정기간 생활하는데 필요한 것을 충당하기 위한 대가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할 것이다. 이후 자녀가 모두 성장하여 남편 집에 올 때도 부인이 준비하는 슈 의 슬롯 머신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신랑과 마찬가지로 비단류의 옷감이 주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라와 백제의 슈 의 슬롯 머신 관련 내용도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역시 옷감이 주를 이루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옷감은 예로부터 조달하기 어려운 일상생활 필수품으로서 옷감류가 슈 의 슬롯 머신의 주 내용을 이룬다는 증거는 고려 말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말 우왕 당시 귀천을 막론하고 외국에서 수입한 호화로운 비단과 금 · 은 · 주옥을 슈 의 슬롯 머신로 장만하는 사치스러운 풍조를 우려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혼례 시 슈 의 슬롯 머신와 예물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양반의 딸로서 집안이 가난하여 슈 의 슬롯 머신를 마련하지 못해 혼기를 놓친 경우 관에서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개국초부터 제도화되어 있었다고 한다. 당시 반가에서는 슈 의 슬롯 머신 없는 혼인은 예(禮)가 아닌 것으로 여겼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15세기 후반 사회가 안정되면서 부유하고 세력있는 집안을 중심으로 슈 의 슬롯 머신사치가 확산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이후 농업경제규모의 확대와 신분제의 변화, 정치 · 사회적 혼란이 나타나면서 중인과 상인에게까지 호화슈 의 슬롯 머신가 파급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다만 지배계층의 슈 의 슬롯 머신사치를 우려하는 사대부도 존재하여, 『증보사례편람』의 “문중자(文中子)는 혼인을 함에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들이나 하는 짓이다. …… 그러므로 혼인을 의논함에 재물을 언급하는 사람과는 혼인하지 말아야 한다”는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혼인 시 물질 교환을 경계하고 최소한의 피륙을 중심으로 예를 표하려는 태도가 공존했음을 엿볼 수 있다. 반면 농촌에서는 도시와는 달리 슈 의 슬롯 머신로서 토지가 중요한 몫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전통적 가부장제 가족제도 하에서는 여자가 시집의 구성원 속에 흡수되기에, 슈 의 슬롯 머신 또한 여자가 시집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과 시집의 경제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로, 옷감, 옷, 옷장, 요 · 이불, 그리고 땅문서와 씨앗종자 등이 주요 슈 의 슬롯 머신품목으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분재기(分財記)에 따르면 부유한 양반계층에서는 땅문서를 위시하여 몸종이나 노비가 슈 의 슬롯 머신품목에 포함되기도 했다.
조선시대 슈 의 슬롯 머신 관행은 현대사회까지 그대로 이어져, 농어촌 구분 없이 시가거주제에서 신거주제로 주거규정이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부 쪽에서 슈 의 슬롯 머신를 장만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만 살림살이가 기본적 슈 의 슬롯 머신를 이루는 가운데 옷감의 비중은 줄고 가구나 가전제품이 중시되고 있다. 슈 의 슬롯 머신를 둘러싸고 양가 간에 미묘한 갈등이 노출되고 있어 일부 전문직 남성들의 경우 슈 의 슬롯 머신에 대한 기대가 높아져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으며, 슈 의 슬롯 머신가 기대치에 못 미칠 경우 이혼에 이르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과중한 슈 의 슬롯 머신비용과 슈 의 슬롯 머신에 내포된 신랑 신부의 불평등 관계는 현대사회 슈 의 슬롯 머신를 둘러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