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슬롯 해령 ()

목차
국악
작품
조선시대 궁중의 연례악(宴禮樂)과 행악(行樂)에서 연주되던 곡명.
이칭
이칭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연례악(宴禮樂)과 행악(行樂)에서 연주되던 곡명.
내용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이라고도 한다. 「댄 슬롯」은 「여민락영」의 변주곡으로 「여민락영」의 전체 32악절 중 제1절부터 제16절까지를 변주시킴으로써 생성된 곡이다.

그 변주방법은 본곡의 음과 음 사이에 간음(間音)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붙여 길게 늘이고 「본령」에 비하여 느린 시가(時價)로 댄 슬롯된다.

이와 같이 본곡인 「여민락영」을 ‘풀어 댄 슬롯한다’ 하여 이를 ‘해령’이라 하며 따라서 변주하지 않은 본래의 「여민락영」은 「해령」에 대하여 「본령」으로 불리게 되었다.

「해령」댄 슬롯의 악기편성은 「보허자」·「낙양춘」·「여민락만」과 같이 당피리·대금·당적·해금·아쟁·좌고·장구 등으로 당피리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해령」이 행악으로서의 기능이 사라지고 무대 댄 슬롯용 음악으로 변함에 따라 방향 대신 편종과 편경이 사용되고 있다.

음악의 구성음은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5음으로 평조선법으로 되어 있는데 음의 진행에서 간혹 협종과 무역이 출현하기도 한다. 한편, 「해령」은 연음(連音)의 댄 슬롯방식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악곡으로 꼽히는데, 이는 「해령」이 「본령」과 함께 연악이나 행악에 주로 사용되는 음악의 기능과 밀접히 관련된다.

즉, 의식 진행에서 댄 슬롯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관악기군의 연음방식을 이용하여 반복과 생략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전 16악절로 이루어진 중에서도 반복되는 부분이 많은데, 오늘날 무대에서 댄 슬롯할 때는 반복되는 부분을 많이 생략하고 5·6악절만을 댄 슬롯하는 것이 보통이다. 곡풍은 매우 장엄하고 유장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국악통론』(서한범, 대림출판사, 1981)
「現行 解令의 音樂的 考察」(이기설, 『예술문화논총』 2권,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