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이라고도 한다. 「댄 슬롯」은 「여민락영」의 변주곡으로 「여민락영」의 전체 32악절 중 제1절부터 제16절까지를 변주시킴으로써 생성된 곡이다.
그 변주방법은 본곡의 음과 음 사이에 간음(間音)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붙여 길게 늘이고 「본령」에 비하여 느린 시가(時價)로 댄 슬롯된다.
이와 같이 본곡인 「여민락영」을 ‘풀어 댄 슬롯한다’ 하여 이를 ‘해령’이라 하며 따라서 변주하지 않은 본래의 「여민락영」은 「해령」에 대하여 「본령」으로 불리게 되었다.
「해령」댄 슬롯의 악기편성은 「보허자」·「낙양춘」·「여민락만」과 같이 당피리·대금·당적·해금·아쟁·좌고·장구 등으로 당피리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해령」이 행악으로서의 기능이 사라지고 무대 댄 슬롯용 음악으로 변함에 따라 방향 대신 편종과 편경이 사용되고 있다.
음악의 구성음은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5음으로 평조선법으로 되어 있는데 음의 진행에서 간혹 협종과 무역이 출현하기도 한다. 한편, 「해령」은 연음(連音)의 댄 슬롯방식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악곡으로 꼽히는데, 이는 「해령」이 「본령」과 함께 연악이나 행악에 주로 사용되는 음악의 기능과 밀접히 관련된다.
즉, 의식 진행에서 댄 슬롯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관악기군의 연음방식을 이용하여 반복과 생략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전 16악절로 이루어진 중에서도 반복되는 부분이 많은데, 오늘날 무대에서 댄 슬롯할 때는 반복되는 부분을 많이 생략하고 5·6악절만을 댄 슬롯하는 것이 보통이다. 곡풍은 매우 장엄하고 유장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