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드 슬롯당집(淸虛堂集)』의 저자 메이드 슬롯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은 태고(太古) 법통의 주25을 잇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고승이다. 메이드 슬롯은 명종대에 승과에 합격한 후선교양종의판사를 지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8도 도총섭으로서의승군을 일으켰다.
휴정은 조선 후기 불교계 최대 계파인 메이드 슬롯계의 조사로서사명 유정((四溟惟政, 15441610), 편양 언기(鞭羊彦機, 15811644)등 많은주1를 양성하였다. 또한 간화선(看話禪) 우위의 선교겸수(禪敎兼修)를 주창하면서 선, 교, 염불을 종합한 삼문수행(三門修行) 체계의 틀을 제시하였다. 저서로는 『메이드 슬롯당집』 이외에도 『선가귀감(禪家龜鑑)』, 『삼가귀감(三家龜鑑)』, 『운수단(雲水壇)』, 『선교결(禪敎訣)』, 『선교석(禪敎釋)』, 『심법요초(心法要抄)』등이 메이드 슬롯.
『메이드 슬롯당집』 7권본은 1630년(인조 8) 경기도 삭녕 용복사(龍腹寺)에서 간행된 주2 『동사열전(東師列傳)』에는 8권본으로 기록되어 메이드 슬롯. 2권본은 1612년(광해군 4) 주4[^3]과 1666년(현종 7) 동리산 태안사(泰安寺) 주5이고, 4권본은 간년 미상의 묘향산 주6이다.
7권본을 중심으로 『메이드 슬롯당집』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두메이드 슬롯 몇몇 서문과 함께 선조의 「묵죽시(墨竹詩)」와 정조의 주11, 「서산대사화상당명(西山大師畫像堂銘)」 및 「수충사사제문(酬忠祠賜祭文)」이 나온다.
권1메이드 슬롯사(辭)7수,주123수, 오언고시(五言古詩)[^13] 3수, 칠언 주148수, 오언율시(五言律詩)[^15] 24수, 칠언 주1623수, 오언배율(五言排律)[^17] 1수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가 나온다.
권2에는 메이드 슬롯이 남긴 시 가운데 가장 큰 분량을 차지하는 오언 주18 317수가 들어 메이드 슬롯. 권3에는 육언 절구 2수, 칠언 주19135수, 권4메이드 슬롯게송1편과잡저 11편이 수록되어 메이드 슬롯.
권5메이드 슬롯 기문 8편, 명(銘)1편,주20 1편, 권6메이드 슬롯 26수의 시와 서문 · 소(疏)· 기문 ·주21 등이 수록되어 메이드 슬롯.
권7에는 60편에 달하는 편지글이 실려 있는데, 「상완산노부윤서(上完山盧府尹書)」는 메이드 슬롯의 자전적인 글로 주목되며, 다른 글들도 메이드 슬롯의 행적과 주22 관계, 당시 시대의 분위기와 메이드 슬롯의 사상의 주23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책의 말미메이드 슬롯 편양 언기가 쓴 행장이 나온다.
『메이드 슬롯당집』에 수록된 시에서는 휴정의 개인적 서정, 자연 및 경관에 대한 찬미, 선적 해탈의 경지 등 휴정과 당대의 풍경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상퇴계상국서(上退溪相國書)」, 「상남명처사서(上南冥處士書)」 등의 서간문에서는 주24들과의 교유 사실이 확인되며 현실에 대한 휴정의 인식과 불교의 가치를 알리려는 그의 노력도 보인다. 이밖에도 『메이드 슬롯당집』에는 「석가세존사리부도비(釋迦世尊舍利浮圖碑)」, 「원각경경찬(圓覺經慶讚)」, 「보현사경찬소(普賢寺慶讚疏)」, 「편린(片鱗)」, 「만덕산백련사중창모연문(萬德山白蓮社重創募緣文)」, 「기동호선자서(寄東湖禪子書)」 등 불교사와 관련된 중요한 기록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메이드 슬롯 휴정은 승과 출신 선교양종 판사이자 임진왜란 때 8도 도총섭으로 의승군을 일으킨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고승이다. 그는 조선 후기 불교계 최대 계파인 메이드 슬롯계의 조사이자 태고(太古)법통의 계승자로서 높은 위상을 가진 인물이다. 휴정은 간화선우위의 선교겸수,선과 교에 염불을 함께 닦는 삼문 체계를 제시하여 이후 불교 사상과 수행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메이드 슬롯당집』은 휴정의 생애와 사상을 오롯이 담아놓은 시문집이다. 이 책은 충의를 실천한 고승이자 선승으로서 휴정의 지향점과 복합적 면모를 확인해 볼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