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슬롯 천년만세 ()

국악
작품
3곡의 모음곡으로 구성된 줄풍류.
이칭
이칭
뒷풍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해외 슬롯는 3곡의 모음곡으로 구성된 줄풍류이다. 임금이 천수를 누리기 바란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해외 슬롯(千年萬歲)』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악영산회상』 뒤에 이어서 연주하기 때문에 『뒷풍류』라고 한다. 『해외 슬롯』는 『뒷풍류』의 아명이다.

정의
3곡의 모음곡으로 구성된 줄풍류.
전승 과정

조선 후기에는해외 슬롯방(風流房)을 중심으로줄해외 슬롯(줄風流) 악곡이 발달하였다. 19세기에는 「보허사(步虛詞)」의 파생곡인주1를 변주한「양청해외 슬롯」「우조가락해외 슬롯」가 생겨났고, 「양청해외 슬롯」 · 주2는 그 앞에「계면가락해외 슬롯」를 덧붙여 모음곡 형태의 악곡인 『해외 슬롯』가 구성된다. 현재는 『뒷풍류』라는 이름보다 ‘해외 슬롯’라는 아명이 더 잘 알려져 있다.

구성 및 형식

『해외 슬롯』의 구성 악곡은 총 3곡으로 연주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순으로 한다.

제1곡 「계면가락해외 슬롯」는 계면조 선법이며, 장별 구분이 없이 총 43장단으로 구성되고, 제33장단부터 마지막 제43장단까지는 제4장단부터 제14장단까지의 선율과 같은 반복선율이므로 연주 시 생략하기도 한다. 제2곡 「양청해외 슬롯」는 평조 선법이며 7장으로 구성된다. 제3곡 「우조가락해외 슬롯」는 우조로 되어 있고, 7장으로 구성된다.

『해외 슬롯』의 구성 악곡 3곡 모두 비교적 빠른 타령 장단으로 빠르기는 ‘보통 빠르게-빠르게-보통 빠르게’로 연주한다. 제2곡인 「양청도드리」는 매우 빠르게 연주하기 때문에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 곡의 악기 편성은 「영산회상」과 같이 거문고·가야금·양금·대금·해금·세피리·단소·장구등이다.

의의 및 평가

조선 후기 풍류객들은 기존 악곡을 변주하여 새로운 악곡을 만들고, 이 곡들을 모아 모음곡의 형태로 이어 연주하면서 줄풍류의 새로운 갈래를 형성하였다. 『해외 슬롯』의 구성곡 중에는 「보허사」의 파생곡을 포함하고 있어, 조선 후기 풍류방의 음악 창작 방식과 연주 문화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장사훈, 『최신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논문

이혜구, 「보허자고」 (『한국음악연구』, 국민연구회, 1957)
장사훈, 「보허자논속고」 (『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91)
김정수, 「국립국악원 줄풍류 해외 슬롯와 향제 뒤풍류의 비교분석 : 해금가락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논문집』 14, 용인대학교, 1997)
한영숙, 「음악교과서의 해외 슬롯음악 수록 양상 및 지도방향 모색」 (『국악교육연구』 11-2,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주석
주1

국악 장단의 하나. 조선 시대의 궁중 연례악 수연장을 한 옥타브 위로 올려 그 가락을 바꾼 변주곡이다. 우리말샘

주2

평조 가락에 의한 해외 슬롯. 보허자의 파생곡인 잔해외 슬롯와 양청해외 슬롯를 또 한 번 변주한 곡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소현(영남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