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청도드리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목차
국악
작품
「천년만세(千年萬歲)」의 두 번째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천년만세(千年萬歲)」의 두 번째 곡.
내용

웃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細還入)의 변주곡으로 양청환입(兩淸還入)이라고도 한다. 「보허자(步虛子)」의 파생곡인 웃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에서 변조된 곡으로 4분의 6박자인 웃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를 8분의 12박자의 음악으로 바꾼 것이다. 따라서 장수(章數)도 웃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와 같이 7장으로 구분되며, 음계도 평조선법(平調旋法)에 든다.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의 이름은 거문고의 주법에서 온 것이다. 즉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는 두청(2音)의 연속으로 된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의 특징은 4분의 6박자인 웃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한 장단 가운데서 주요음(主要音) 2음씩을 추출하여 이 2음 앞에 개방현(開放絃)인 거문고의 첫째 줄 문현(文絃) 음을 삽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연주한다.

즉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한 장단에는 문현음 2개, 주요음 2개로 연결된다. 현행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는 그 끝부분에서 양청(兩淸)을 쓰지 않고, 우조가락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羽調加樂還入)의 리듬으로 변하는데, 『삼죽금보(三竹琴譜)』에 의하면 양청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만 연주할 때는 끝까지 양청식으로 연주하고 양청에서 우조가락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로 넘어갈 때는 현행과 같이 우조가락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의 리듬으로 변조하여 연주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행 곡은 그 후자가 남게 된 것이다. 줄풍류 가운데 가장 경쾌한 곡 중의 하나로, 악기편성은 거문고·가야금·세피리·대금·해금·양금·단소·장구로 편성하여 연주된다.

참고문헌

『삼죽금보(三竹琴譜)』
『보허자논고』(장사훈, 국악논고,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