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진상 ()

목차
관련 정보
진상등록
진상등록
식생활
제도
조선시대 지방의 토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던 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지방의 토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던 일.
내용

섀도 어 슬롯 강화품은 각 도(道) 단위로 관찰사·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 등이 중앙의 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사도시(司䆃寺)·사재감(司宰監)·사포서(司圃署)·의영고(義盈庫)에 바쳤다. 그러면 이곳에서는 이들 물품들을 날마다 궁중에 조달하였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제도는 형식상으로는 각 도가 그 단위였으나, 실상은 각 주현(州縣)에서 모든 물품을 분담하였으므로 백성들을 빈곤에 허덕이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 제도는 외관(外官)이 임금에게 예물(禮物)을 바친다는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세납의 한 가지였던 공물(貢物)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이(李珥)의 대동법(大同法)에 의하여 공물이 곡식으로 대신 납부되던 때에도 섀도 어 슬롯 강화은 현물로 바쳐졌다. 그런데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대상이 되는 품목이 대부분 부패하기 쉬운 식료품이어서 까다로운 법칙이 뒤따랐고, 여기에 관계하는 관리들의 협잡이 심하였으므로 백성들에게 주는 폐가 컸다.

섀도 어 슬롯 강화품들은 각 전(殿)의 어선(御膳 ; 임금에게 올리는 음식을 이르던 말), 궁중의 제향(祭享)·과장(科場)·예장(禮葬 ; 예식을 갖추어 치르는 장사)·별치부(別致賻 : 정·종3품 이하의 시종이나 臺侍가 喪事를 당하였을 때 국왕이 따로 돈이나 물건을 내리던 것) 등에 사용되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품목은 대전에 공상(供上)되던 것을 중심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축일공상(逐日供上 : 날마다 진공하는 것)으로 멥쌀·기장쌀·두부콩·겨자·대구·조기·알젓·새우젓·소금·고운 소금·참기름·다맥(茶麥 : 차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보리)·식초·생강·황각(黃角)·황각즙진유(黃角汁眞油)·우무·팥죽에 쓰는 붉은 팥·꿀·배·밤·대추·호두·황률·잣·곶감·참외·수박·생치(生雉)·생선 등이 진공되었다.

소선(素膳 ; 고기나 생선이 들어 있지 아니한 반찬)으로 황대두(黃大豆)·포태(泡太)·분곽(粉藿)·조곽(早藿)·다시마·석이버섯·감태(甘苔)·미역귀·참가사리·김·곤포·표고버섯·상말(上末)·메밀가루·점(粘)·즙진유(汁眞油)·껍질을 벗긴 깨·메주·생강 등이 진공되섀도 어 슬롯 강화.

축삭공상(逐朔供上 : 달마다 진공하는 것)으로 분강갱미(粉糠粳米)·밀·들기름 및 비누 만드는 팥, 진공할 때에 초(草)잡는 두루마리, 백문석(白紋席), 선을 두르는 청색의 베, 김치용 소금, 유지(油紙), 등 바르는 백지, 등의 심지로 사용할 씨를 뺀 면화, 아홉새 백면포, 양치하는 데 드는 녹새, 들기름, 비망기에 사용되는 다듬은 권지(卷紙), 큰비, 중간비, 갈퀴 등이 진공되섀도 어 슬롯 강화.

이 밖에도 월령(다달이 정한 때에 따라 바치는 것)·연례(일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바치는 것)·삭선(朔膳 : 각 도에서 매달 초하루에 올린 물품으로 차려서 임금에게 드리는 수라상)·진하(進賀) 등의 명목으로 각종 물품이 진공되섀도 어 슬롯 강화. 평상시에 쓰일 옷감·장(醬), 탄신일과 명절에 쓰일 옷감과 식료품도 특별히 진공되섀도 어 슬롯 강화.

참고문헌

『만기요람』(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71)
『증보문헌비고』(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9)
관련 미디어 (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섀도 어 슬롯 강화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